▲ 이문일 논설위원.

“개인·회사·단체 등에서 배출한 이산화탄소를 다시 흡수해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 '탄소중립'의 정의다. 온실가스를 흡수하기 위해선 배출한 탄소의 양만큼 나무를 심거나 풍력·태양력 발전 같은 청정에너지 분야에 투자해 오염을 상쇄함을 말한다. 탄소중립은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국이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의 화두로 떠올랐다. 우리 정부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40% 줄이고, 2050년에는 '순배출량 0'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탄소중립 제기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에서 비롯됐다. 화석연료 등의 사용 증가로 갈수록 지구가 뜨거워짐으로써 온갖 생명체의 존재를 위협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이대로 가다간 사람조차 살 수 없는 지구촌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우려에서다. 그렇다곤 해도 아직도 세계 각국에선 경제력을 내세워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이산화탄소 배출에 제동을 잘 걸지 못하는 상태다. 그런가 하면 정부뿐만 아니라 자치단체 차원에서도 탄소중립은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 인천시도 바쁜 움직임을 보인다. 올해 상반기 중 탄소중립 지원센터를 설립·지정하고,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의무감축률(34%) 달성, 태양광 발전과 온실가스 감축 설비 지원 등에 힘을 쏟기로 했다. '환경특별시'를 선언한 시로선 인천만의 소재 발굴로 탄소중립에 한 발짝 먼저 다가가야 한다는 고민을 진지하게 한다. 이런 저탄소·에너지 효율 향상이란 도시 짜임새를 변화시키기 위한 '작은 행동'으로 자전거 타기 활성화가 꼽힌다. 자전거는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교통수단의 핵심으로 주목을 받는다. 세계 여러 나라 도시에서도 자전거 이용을 극대화기 위해 전용도로를 확충하는 등 심혈을 기울인다. 유럽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의 주요 수단으로 자전거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미세먼지 감축·건강 증진·도시환경 개선 등에도 효율적이어서 각광을 받는다.

인천시도 이에 발맞춰 자전거도로를 확충하기 시작해 이젠 총길이 1000여㎞에 이른다. 하지만 이 중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가 70%를 넘는데, 안전 문제 등을 일으켜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지적된다. 자전거 우선도로와 우선차로 설치 등으로 교통체계를 향상해야 할 듯하다. 자전거를 즐겨 타는 이들 사이에선 송도국제도시~승기천~인천종합터미널~부평구청역~굴포천 등으로의 연결을 제안하기도 한다.

마침 4월17~23일은 '자전거의 날 주간'이었다. 자전거의 날은 지난 2010년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매년 4월22일로 지정됐다. 각 지자체에선 좀더 많은 시민들의 자전거 타기를 통해 도시를 활력 넘치게 하고,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게 하려는 노력을 배가해야 할 듯싶다.

/이문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