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그린뉴딜 사업 미반영
시 종합상황실 구축 계획 '찬물'
민원도 광역화…근원 차단 절실

악취의 계절이다. 날이 뜨거워지면서 악취 민원도 덩달아 달아오르는 시기다.

인천시도 악취종합상황실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국가나 지방 산업단지, 수도권매립지 등 악취관리지역이 도심 주거지역과 뒤섞이거나 가까이 있다 보니 악취 근원지 관리가 절실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만만치 않다. 정부 부처가 그리 많지도 않은 국비 지원에 인색해서다.

인천에는 남동·부평·주안 등 국가산단 3군데와 지방·기계·서부·청라·검단·강화·하점·서운 등 지방산단 9곳이 가동 중이다. 인천서부자원순환특화·IHP도시첨단·남동도시첨단·I-FOOD Park 등 지방산단 4곳은 조성 중이다.

이 산단들은 악취관리지역(전체 11곳)과 대부분 겹친다. 악취관리지역은 중구 북성포길13등 북성동 일원, 동구 화수·송현동 일원, 미추홀구 도화동 지방·기계산단 일원, 남동구 남동공단·논현고잔·남촌동 일원, 부평구 부평대로 일원, 서구 가좌·석남·원창동·서부산단·수도권매립지·검단산단 일원 등지다. 이곳에는 악취배출사업장 2709개가 있다.

지난해 인천서 악취 민원은 2900건이 발생했다. 이 중 악취관리지역을 둔 지자체에서 생긴 악취 민원은 전체의 86.9%인 2520건이었다. 서구 986건, 미추홀구 766건, 부평구 405건, 남동구 4283건, 동구 46건, 중구 46건이었다. 2010년에는 수도권매립지, 2015년과 2018년 송도국제도시, 서구 금호마을 등지에서 악취 집단민원이 발생하기도 했다.

악취 민원은 점차 시계(市界)를 넘어 광역화하고 있다.

인천 서구, 연수구와 가까운 경기도 김포(학운산단), 시흥시(시화산단)간 악취분쟁이 일고 있다.

인천시는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등을 적용한 악취종합상황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산단 악취 발생지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 근원적 차단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서다.

인천시는 악취종합상황실 구축을 위한 그린뉴딜 사업 반영을 환경부에 요청했으나 지난 4월 미반영됐다. 이후 5월에도 환경부에 그린뉴딜 사업 반영을 재차 요청했다. 전체 사업비의 50%인 50억 원을 국비로 지원해 달라는 내용이다.

인천서 악취 민원이 가장 많은 서구는 2019년 12월 사물인터넷(IoT)에 기반을 둔 '악취·미세먼지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했다. 수도권매립지 가산금 50%로 만든 특별회계에서 9억 원을 지원받았다. 2018년에 비해 2020년 악취민원이 40% 정도 줄었다.

/박정환 기자 hi21@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