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구제역·AI 질병 발생
부지난·오염·비용 등 '부작용'
해결책은 '동물자원순환센터'
가축 질병 발생 때 살처분한 뒤 매몰 처리하는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의 매몰처리 방식은 매몰지 확보가 어려운 데다 환경 오염과 비용 문제 등 부작용이 많기 때문이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2010년부터 최근까지 조성된 가축 매몰지는 모두 2517곳으로 이 중 여전히 관리 중인 매몰지는 올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병 뒤 조성한 71곳을 포함해 모두 213곳이다.

나머지 2304곳은 매몰지 관리지침에 따라 관리대상에서 해제됐다.

그러나 관리대상에서 해제됐다 하더라도 사체 잔존물이 그대로 남아 있어 매몰지로 다시 사용할 수 없는 형편이다.

현재는 2000∼3000마리를 처리할 수 있는 용기(FRP)에 담아 묻지만 이전에는 구덩이에 비닐을 깐 뒤 매몰한 탓이다.

특히 구제역 피해가 컸던 파주나 연천은 대부분 양돈 농가가 이미 매몰지로 사용돼 농장 내 매몰처리가 어렵다.

방역 당국은 가축 질병 발생 때 확산을 막기 위해 렌더링 방식 또는 매몰 처리 방식으로 사체를 처리했다.

렌더링 처리는 현장에서 처리하면 사후관리가 필요하지 않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는 반면 고가의 처리시설이 부족해 많은 양을 한꺼번에 처리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매몰 처리는 많은 양을 짧은 시간에 처리할 수 있으나 적정 매몰지 확보가 어렵고 재입식 때 불이익 우려와 악취 등으로 농장주와 인근 주민의 악취 민원이 발생한다.

또 토지의 가치 하락으로 땅 주인이 매몰지 활용을 꺼리고 사후 관리 등에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도는 이번 ASF 발병으로 195농가의 돼지 32만마리를 살처분했다.

이 중 14만7000마리는 FRP 용기에 담아 매몰 처리하고 9만6000마리는 렌더링 처리했다.

나머지는 이동식 열처리 등 기탁 방식으로 처리했다.
비용 추정치는 614억9000만원이다.

매몰처리 때 마리 당 소요되는 비용은 26만원, 랜더링 처리 때 비용은 11만2000원으로 산정했다.

경기지역의 경우 연천과 포천에 1개씩, 총 2개의 랜더링 시설밖에 없어 하루 돼지 4000∼6000마리(60t)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도는 하루 270t을 처리할 수 있는 동물자원순환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480억원을 들여 시설을 갖추면 평상시에는 도축장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등을 처리하고 구제역이나 ASF 등 가축 질병 발생 때 신속한 살처분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 관계자는 "매년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 질병이 발생, 경기지역의 경우 더는 매몰지를 확보하기 어렵다"며 "사체를 고온·고압으로 처리해 재활용하기 때문에 매몰지가 필요 없는 동물자원순환센터를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