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가족·직업…소멸해 가는 것들에 대하여

이희환 편집위원 '홍진 선생 기념 사업회' 제안
▲ 황해문화 119호 2023년 여름호 새얼문화재단 444쪽·9000원

<황해문화 2023년 여름호(통권 119)>가 나왔다.

'소멸해가는 것들에 대하여'를 기획으로 책이 구성됐다. 이번 호는 인구, 가족, 직업, 지역, 농촌, 생명 등 6가지로 '소멸해가는 것처럼 보이는 것'들을 꼽았다.

박혜경 충북여성재단 대표이사는 '숫자이자 삶으로서 인구'를 통해 인구 절벽, 또는 인구소멸론이라는 것은 주로 선진국이라는 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그중에서보다 특수하게 한국적인 현상이라는 것을 전제로 논의를 전개했다. 이어 김순남 성공회대 젠더 연구소 연구교수는 '가족 제도를 교란하는 '난잡한 관계들''을 소개하며, 전통적 가족 질서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가족 방식을 살폈다.

채효정 정치학자는 '노동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부서지는 것이다'를 통해 노동이 사라지고 직장이 사라진다는 것은 정확히 '고용이 사라진다'는 말이며 이는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뺏거나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뺏으려는 자본가들의 농간에 다름 아닌 것이 된다고 소개한다.

선지현 선생은 '파괴와 착취의 종착지, 지역 소멸'에 대해 소멸론의 가면을 쓴 지역 파괴와 착취를 위한 자본 측의 기만행위라는 입장에 서 있다. 여기에 정은정 선생의 '기휘위기의 북극곰과 농촌의 할머니'를 비롯해 공우석 기후변화생태연구소 소장의 '벼랑 끝의 생명'도 주목된다.

이 책에서는 이희환 편집위원의 '인천에서 홍진 선생 기념사업회를 전국에 제안한다'라는 글을 실었다.

이희환 선생은 한시준 독립기념관장의 “인천이 한국독립운동사에서 특히 임시정부와 관련하여 크게 주목을 받고 자주 언급되게 된 것은 홍진 때문”이라는 글을 소개한 뒤 “한성임시정부를 잉태한 인천시는 응당 만국공원을 새롭게 기획하고 홍진 선생 기념사업에 적극 나서야 할 책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



관련기사
[책] 기인기사록上 <기인기사록(奇人奇事錄)>은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를 기록한 책이다.연초 나온 휴헌(休軒) 간호윤(簡鎬允)의 <별난 사람 별난 이야기>의 완결판이 <기인기사록>이다.인천일보에서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을 연재 중인 휴헌 선생이 <기인기사록> 상권을 발행했다. 이 책의 하권은 2014년 나왔다.<기인기사록>은 물재(勿齋) 송순기(宋淳_, 1892-1927)가 쓴 '신문연재 구활자본 야담집'이다. 1921년 발행된 상권에는 51화가, 1923년 나온 하권은 56화의 이야기로 구성됐다 [책]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 무와 문으로 단련된 최형국의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가 나왔다.이 책은 <무예도보통지> 속 조선 검의 명맥을 30년 가까이 이어가고 있는 최형국이 정조의 무예를 통한 조선 정치의 기강을 손쉽게 풀어쓴 교양서다.<무예도보통지>는 정조가 145권의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의 무예서를 집대성한 것으로 당대 무예사적 연구 성과를 총망라했다. 이 책은 북한의 첫 세계기록유산이다.최형국은 <무예도보통지>를 통해 정조가 세우고자 한 '새로운 조선'을 <무예로 조선을 꿈꾸다>로 발현한다. 그렇기에 최형국은 정조의 통치 철학을 책에 [책] 불모의 눈물 기자에서 작가로 창작 활동 중인 송금호가 신작을 냈다. 오랜 기자 생활로 '사실'을 좇는 그의 습성이 새 책 <佛母(불모)의 눈물>에 투영됐다.이 책은 실존 인물인 전 인간문화재 목조각장 허길량을 둘러싸고 실제 일어났던 사건을 추적하고 진실을 밝히려는 내용으로 이뤄졌다.허길량은 열다섯에 목공소에서 일하며 35년 만에 국내 최고의 목조각 명인이 되고 인간문화재로 지정된다. 하지만 문화재청 공무원들의 음모에 의해 명예훼손혐의로 구속되고 끝내 인간문화재를 박탈당한 이야기이다.작가는 허길량의 생을 놓치지 않았다. 그렇게 찢어 [책] 철종의 눈물을 씻다 강화도령 이원범의 삶과 그의 시대사 철종은 비운의 왕이다. 그의 행적은 '나무꾼', '무지렁이', '겁쟁이', '사랑꾼' 등으로 깎아 내려졌다. 안동김씨 세도정치가 득세하며 강호도령 이원범은 꼭두각시 왕 노릇에 힘겨워했다. 철종은 세도정치에 맞섰지만 결국 꽃을 피우지 못하고 33세라는 젊은 나이에 승하했다. 기울어가는 조선은 사실상 철종을 끝으로 망국에 접어든다.철저히 왜곡된 철종의 이미지. 영화, 드라마가 바보 철종을 각인시켰다.그런 철종의 한을 풀기 위한 책 <철종의 눈물을 씻다. 강화도령 이원범의 삶과 그 [책] 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 강화도 <나를 채우는 섬 인문학 강화도>는 교과서 밖 역사서이다.한민족 시대를 통틀어 강화가 주인공이 아닐 때는 없었다. 변방인 적도 없다. 이 책은 그런 강화의 하늘·땅·사람·마음에 새겨진 이야기를 담았다.이 책을 규정짓는 문장은 “강화도는 섬이다. 바람 부는 섬이다. 그러나 그 바람 속에는 역사의 흔적이 실려 있다. 강화도의 해안이나 내륙에는 어딜 가나 과거의 유산이 숨 쉬며 역사를 노래한다”이다.이에 '하늘의 길'에는 '단군, 하늘에 제사를 올리다'와 '신과 함께, 강화의 무속', ' [책] 사피엔솔로지 지구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무언가(살아 있다. 혹은 살 수 있다)가 있다.인류는 탄생부터 지금껏 생존에 몸부림쳤다. 동종끼리, 혹은 이종끼리. '다르다'를 '틀리다'로 인식하는 순간 가차 없이 씨를 말렸다.송준호 인하대 의대 교수가 책 <사피엔솔로지>을 썼다.송 교수는 “이 책은 과학과 의학이란 다소 어려운 분야를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였다”며 “이 땅의 모든 학생에게 벗이 될 수 있는 지침서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책의 제목인 <사피엔솔로지>는 현생인류를 지칭하는 '사피엔스 (Sap [책] 수도권 도보여행 50선 “길을 나서세요. 혼자서도 좋고, 함께라면 더 좋습니다. 역사와 인물과 이야기를 만날 수 있습니다.”걷기 도사 윤광원이 책 <수도권 도보여행 50선>을 펴냈다.이 책은 접근하기 쉽고, 익숙하지만 익숙하지 않은 이야기가 있는 곳을 걷기의 최적의 장소로 여긴다. 그렇게 수도권이 택해졌다.윤광원은 “걷기를 좋아하고 역사의 인물 및 문화의 이야기에 관심이 많은 자로서 걸으면서 알게 된 이야기들을 다른 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었다”며 “직접 만나 뵙고 전해드릴 수 없으니 책으로라도 길에 얽힌 이야기들을 공유하고자 했다”는 책을 쓴 이유를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