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인천대학교의 역사는 파란만장하다. 지역사회에 파행과 분규로 점철되던 '선인학원' 산하에서 신음하다가 탈바꿈을 시도했다. 1994년 3월1일 선인학원 내 14개 학교가 한꺼번에 시립대학과 공립 중·고교로 변한 일은 국내 교육사에 길이 남을 하나의 '사건'으로 치부된다. 선인학원 시립화엔 희생을 감수하며 벌인 학생·교사·교수·교직원들의 용기와 고장의 명예와 자존심을 곧추세우려던 시민들의 의지가 한몫 단단히 했다.

앞서 1993년 6월엔 백인엽 선인학원 설립자가 기증을 다짐하는 증서를 인천시에 넘겼다. 그는 기증서를 통해 “새로운 민주정부가 출범되면서 모든 분야의 개혁이 건전한 방향으로 이뤄지는 시점에, 인천지역의 고질적 분쟁요인으로 남아선 안 되겠다는 생각에서 인천시립대학화할 것을 믿고 선인학원을 인천시에 기증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온갖 비리를 저지르며 인천 교육의 '불행'을 자초하던 설립자가 마침내 '백기투항' 하는 장면이었다.

1979년 선인학원 소속 사립대학으로 개교한 인천대는 이윽고 시립대를 거쳐 2013년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하는 등 여러 변화를 겪어왔다. 당시 '인천대 국립대를 위한 인천시민 130만 서명운동' 등을 벌이는 등 전폭적인 시민들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 국립대학법인으로 운영되는 대학은 전국에서 인천대와 서울대 두 곳뿐이다.

인천대가 지난 28일 송도캠퍼스 대강당에서 '국립화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선 인천대가 10년간 각종 지표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인 성과를 발표했다. 국내 대학 평가에선 2013년 58위를 지난해 21위로 끌어올렸다고 했다. 교육 여건 평가에선 2012년 53위에서 지난해 11위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인천대는 창업부문에서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인다. 연도별 학생 창업자 현황을 보면, 2013년 0명에서 지난해엔 60명으로 늘었다.

이런 대학의 가능성 외에 따끔한 질책도 이어졌다. 이날 지난 10년을 되돌아보는 심포지엄에선 빠르게 성장하는 대학으로 자리매김해도, 학교 수준과 대학 인지도에 대한 학생 불만은 개선해야 할 부문으로 지적됐다. 결국 대학 홍보도 중요하지만, 전공 경쟁력 제고와 졸업생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고 한다. 아울러 인천의 취약 부분 중 하나가 공공의료 서비스인데, 지역에 기반한 국립대로서 공공 의대를 시급히 유치해야 한다는 얘기도 나왔다.

인천대는 시민의 도움으로 설립된 지역 거점 대학이다. 따라서 늘 지역사회와 공동체란 사명감을 지니길 바란다. 시민 성원을 담보로 인천대 발전을 이룬다는 생각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제 대학 구성원들의 역량과 의지를 모아 국립대로서 위상을 더 높이길 기대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인천뮤지엄 파크에 거는 기대 인천시엔 아직 시립미술관이 없다. 전국 특·광역시는 물론 중소도시에도 있는 시립미술관이 존재하지 않아 시민과 관계자들에게 큰 아쉬움을 던져준다. 전시 행사와 체험 프로그램 등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넘어 개탄스러움을 표하기도 한다.개항(1883년) 이후 각종 근대문물을 도입해 수많은 문화유산을 간직하고 있는 데도 미술관이 없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인천시의 의지가 충분하지 못했음을 들 수 있겠다. 도심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을 즐길 매개체 구실을 하는 미술관 건립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다는 뜻이다. 시가 나섰으면 될 일을 미루고 [썰물밀물] 상전벽해가 실감 나는 서구 어릴 적 지금의 인천 서구 지역은 '개건너'로 불렸다. 바닷물이 드나들던 어귀를 건너가야 만날 수 있는 곳이었다. 동구 송림동과의 사이에 놓인 나루터에서 거룻배를 타고 가야 했다. 1961년 인천교를 준공하면서 나루터는 없어졌지만, 한동안 인천인들에게 개건너란 이름은 계속됐다. '정겨운 명칭'을 잇고 싶은 집단의식의 표출로 보인다.중고등학교 시절 개건너는 소풍 단골 장소이기도 했다. 그 때만 해도 서구는 전답과 농장 등을 아우르는 전형적 농촌마을이었다. 시내를 벗어나 모처럼 시골 내음을 맡으며 즐거워했던 [썰물밀물] 인천의 산업과 노동 올해로 인천(제물포) 개항(1883년) 140년을 맞았다. 비록 일제에 의한 '강제 개항'이었지만, 인천은 경천동지할 변화 속에서 성장을 거듭했다. 인천 개항은 부산(1876년)과 원산(1880년)에 이은 세 번째였어도, 그 파급력은 이들 도시보다 훨씬 컸다. 질이나 규모 면에서 추종을 불허할 만큼 정말 대단했다고 여겨진다.인천은 외국 문물·문화 유입의 첨병 노릇을 하며, 쏟아지는 외세 동력이 서울로 올라가기 전 온갖 다채로운 문명의 불을 밝혔다. 인천에 국내 '최초'란 수식어가 수두룩한 이유도 그 때문 [썰물밀물] 중구 동화마을의 어제와 오늘 도시 전체에 풍성한 근대역사를 품은 인천은 다양한 나들이 장소를 제공한다. 그 중 중구 송월동 동화마을은 관광객에게 퍽 인기를 끄는 곳이다. 차이나타운 바로 옆에 있어 늘 붐빈다. 아이들과 함께 상상의 나래를 펴기에 그만이다. 세계 명작동화를 주제로 마을 여기저기에 색을 입히고 조형물을 설치하면서 인천의 주요 관광지로 떠올랐다.인천항 개항(1883년) 이래 송월동은 '부촌'으로 여겨졌다. 개항 이후 물밀처럼 쏟아져 들어온 서양문물과 더불어 각국인이 이 일대에 터전을 삼아서다. 일본인은 중앙동과 선린동을 중심으로, 미국 [썰물밀물] 디아스포라 영화제와 재외동포청 디아스포라(Diaspora)는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제11회 디아스포라 영화제(인천시영상위원회 주최)가 오는 19∼23일 중구 애관극장과 인천아트플랫폼 등지에서 열린다. 1902년 우리나라 첫 이민사를 기록하고 있는 인천에서, 영화를 통해 차별과 편견 등으로 소외를 받는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이 영화제는 우리 사회 곳곳에 퍼진 디아스포라 관련 문제를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 [썰물밀물] 장서 100만권 품은 미추홀도서관 세계 어디를 가나 도서관과 박물관은 그 곳의 문화 역량 지표로 삼는다. 그만큼 장서 수와 유물·유적 등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다. 책은 지식과 마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양식이요, 유물·유적은 자신들의 선조가 살아온 결과물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오늘날 세계 유수의 도서관과 박물관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인천시립도서관도 그런 구실을 톡톡히 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인 1922년 1월 '인천부립도서관'이란 이름을 달고 개관했어도, 시민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