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FTA'인천에 미칠 영향은
   
▲ 중국과의 FTA 체결을 앞두고, 이미 체결을 마친 미국과 유럽 등의 외국 항공화물들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들어오고 있다. /인천일보 자료사진


G2국가로 세계경제의 큰손으로 등장한 중국과 인천은 떼려야 뗄수 없는 관계다. 1992년 한·중 수교 당시 인천은 양국 교류의 교두보 역할을 했다. 바닷길이 열리고 하늘길을 통해 한·중간 교류는 꽃을 피웠다. 지금도 인천은 한·중 교류의 관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수교 이후 20년 이란 세월이 흐른 요즘. 중국을 상대로 교역을 확대하고 있는 지역 내 기업들은 양국간에 추진되고 있는 FTA(자유무역협정)가 올해 안에 체결될지 관심이 많다. 그동안 두차례 회의가 있었고, 지난 22일부터 사흘간 중국 웨이하이(威海)에서 '한·중 FTA 제3차 협상'이 열렸다. FTA 체결을 위한 양국 정부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느낌이다. 이번 협상도 FTA 체결을 위한 '막바지 준비'라는데 이견이 없다.

그렇다면 한·중 수교 이후 교역을 늘려온 지역 기업들은 FTA 체결을 앞두고 무엇을 준비하고 대비해야 하는지, 이후 인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떨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본보는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아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인천과 중국간의 향후 변화상은 무엇이며 대비는 어떻게 해야 할지를 짚어봤다.


▲중국, 무시할 수 없는 교역대상국

인천에 있어 중국은 무시할 수 없는 교역대상국이다.

인천상공회의소의 '한·중 수교 20주년 인천지역 대중국 무역량 변화 조사' 결과를 보면, 한·중 수교 당시인 1992년 5억 달러였던 지역 내 기업체의 대 중국 무역액은 지난해 총 94억 달러로 급증했다.

수교 당시 인천지역 전체 무역액의 5.4%를 차지하던 대중국 무역액이 최근에는 평균 15% 수준으로 약 3배 가량 향상되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인천항을 통한 무역액은 1992년 14억 달러에서 2011년 548억 달러로 치솟았다. 인천항 전체 무역액의 53.4%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또 2001년 개항 당시 인천국제공항을 통한 중국의 무역액은 총 28억 달러에 불과했지만, 2011년에는 225억 달러에 달했다.

인천공항의 전체 교역액 중 중국의 비중이 2001년에는 4.8% 정도에 그쳤으나 2011년에는 전체 23.3%를 차지했다.

항공화물도 2001년(18만3000t)보다 3.8배 늘어난 68만7000t으로, 인천공항 전체 화물의 22.5%다.

또 이런 돈독한 교역을 발판삼아 인천의 중국 투자도 크게 늘었다.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해외 투자 통계를 분석한 조사에 따르면, 이 기간 인천이 중국에 직접 투자한 금액은 총 15억3219만 달러로, 우리돈 1조6419억원에 달했다.

전체 해외 투자지역 가운데 21.8%로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전기전자·석유화학·철강 '맑음', 농업·섬유·생활용품 '흐림'

한·EU FTA나 한·미 FTA에서와 같이 한·중 FTA가 인천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는 엇갈린 분석이 나오고 있다.

우선 긍정적인 전망으로는 제조업체가 모여있는 인천의 특성상, 자동차와 자동차부품, 컴퓨터, 전자가전, 석유화학, 철강업종이 많다는 점이다.

이 업종들은 이미 인천의 대표 제조·생산 품목이며, 수출이 수입보다 월등히 많아 무역수지를 크게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아울러 인천항을 통해 중국으로 수출하는 품목이 점차 첨단산업인 컴퓨터와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자동차 등으로 바뀌고 있는 것도 그 한 이유다.

지난해 인천항에서 중국으로 수출된 품목에는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가 42%로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어 광학기기 4.3%, 무선통신기기·자동차부품 3.7%, 건전지 및 축전기 3.5% 순이었다.

인천공항을 통한 수출 품목에도 큰 변화가 없다.

같은 기간 반도체가 전체 교역품목 중 50.7%를 차지할 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컴퓨터(7.4%)와 전자응용기기(7%), 무선통신기기(6.3%), 기기부품(5.7%) 등이 그 뒤를 이어 무역수지에 도움을 줬다.

반면 섬유의류와 정밀화학, 생활용품 등은 한·중 FTA가 체결될 경우 중국의 저가 제품 등의 공세로 인해 산업 존립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 10년 전 인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품목을 보면 시멘트와 식물성물질, 원유, 석유제품 등의 기초 원료의 비중이 높았지만 2001년 이후 의류와 컴퓨터, 전자·생활용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인천항을 통한 중국 수입제품으로는 컴퓨터 8.5%와 의류 7.9%, 정밀화학 3.2%, 곡식류가 2.9%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인천국제공항의 수입 품목은 반도체 25.8%, 무선통신기기 15.6%,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10.8%, 컴퓨터 8.8% 순으로 전자제품과 컴퓨터용품의 반입이 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FTA 이후에는 싼 값을 무기로 한 중국 제품의 물량공세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인천 '특성' 살리고 중국 '특징' 파악해야

임기운 인천상공회의소 인천 FTA활용지원센터장은 한·중 FTA의 체결을 앞두고 손해는 줄이고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돌파구 마련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 가운데 지역 업체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특징을 살리는데 지원정책의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 기업의 70% 이상이 제조·가공업인 지역의 특징을 살려야 한·중 FTA에 적극적인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임 센터장은 "반대 입장도 물론 있지만 인천은 어느 정도 한·중 FTA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분위기"라며 "가장 큰 이유는 인천에 제조·가공업체가 많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또 중국으로의 수출이 많은 첨단산업과 자동차·컴퓨터 부품 업체 등이 관세 인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며 "업체별로 관세율이 적은 품목을 잘 파악해 수출입에 활용한다면 인천 업체로서는 손해 볼 것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역과 기업적인 차원을 벗어나 정부 차원의 지원도 요구했다. 그 가운데 가장 먼저 꼽은 것은 중국의 지역적 특징 분석이다.

임 센터장은 "중국은 워낙 땅이 넓고 인구가 많아 '해외시장 확대'라는 측면에서는 인천 기업들에게는 좋은 먹잇감"이라며 "그러나 중국 내 중앙정부와 각 지방정부의 법과 제도가 달라 지역 업체들이 진출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세금이나 관세, 준비 서류 등의 사항이 중국의 지방정부마다 일관성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과 제도 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조현미기자 ssenmi@i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