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병설 인하대 정책대학원 원장.
▲ 변병설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원장

인류문명은 19세기 후반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되었다. 농업사회가 자연에 순응적이었다면 산업사회는 자연을 적극적으로 개발·활용하는 방식이다. 산업사회의 석유·석탄에 의존하는 개발은 기후변화를 가속했다. 현대사회의 대량생산에 의한 소비패턴의 변화도 온실가스 다량 배출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후변화는 '하나뿐인 지구'에 엄청난 부담을 주고,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의 심각성은 우리의 생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국제도시를 꿈꾸는 인천은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탄소중립도시를 지향해야 한다. 탄소중립도시는 도시 전체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흡수량의 균형을 맞추는 도시이다. 다시 말해, 온실가스 순배출량이 제로가 되는 도시를 지향하는 것이다. 인천은 2045년에 탄소중립을 이루려는 목표를 발표했다. 2030년까지 33.9%를 감축하는 계획을 세웠다. 인천에서 탄소배출이 가장 많은 분야는 발전과 산업부문이다. 특히 발전부문은 온실가스의 절반 이상을 점유하는데, 영흥화력발전소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영흥화력을 유지하냐, 폐쇄하냐에 따라 탄소중립이 앞당겨질 수도 있고 늦춰질 수도 있다.

최근 인천시의 탄소중립 기본계획 설명회 자료에 따르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산업단지 등 국가관리영역 75%, 인천시 관리영역 25%이다. 인천의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정부와의 협력이 절실하다. 인천시 관리영역의 온실가스 배출량 중 건물·수송이 97.2%을 차지한다. 이 두 부문에서 온실가스를 획기적으로 감축하는 정책이 나와야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현재 추진하는 신도시나 도시정비사업을 탄소중립도시로 만들고자 하는 의지가 필요하다. 개발사업자는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공급하는 에너지 자립형 도시를 지향해야 한다. 외부 에너지 의존의 사슬을 끊을 수 있는 에너지 독립적인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탄소중립도시 우수사례를 만들기 위해 시범사업을 추진해야 한다. 시범사업은 원도심, 신도시, 바다와 접해있는 섬지역으로 나누어 실질적인 모델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시범사업의 좋은 기법을 발굴하여 인천 전역으로 확산시켜, 도시 전체가 이산화탄소를 줄이면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살아있는 탄소감축소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건물의 탄소중립화가 절실하다. 친환경건축이 확대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강하게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인천의 기존 건축물에 대한 대대적인 에너지 진단이 필요하다. 건물내 열손실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살펴 기밀성과 단열성을 보강하고, 공공건물의 그린리모델링을 확대해야 한다. 대형건축물을 중심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이 적극 도입되어야 한다.

수송의 탄소중립화가 필요하다. 바이오연료는 전기차 시대로 전환하는 중간과정에서 탄소를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으로서 국제적으로 탄소감축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바이오에탄올은 옥수수 등 식물의 발효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탄소저감 연료로 휘발유 차량에 일정 비율 혼합해 사용하면 차량의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생활에서는 승용차 덜 타기 운동과 대중교통망 확충이 필요하다.

탄소중립도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관련 기관과 주체들의 참여와 협력이 동반되어야 한다. 기업은 스스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발적 환경관리협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업이 ESG 탄소중립 경영을 실천해 기후변화에 능동적으로 참여했으면 좋겠다. 시민의 기후변화 의식도 고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정에서 전기와 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것을 포함해 에너지 절약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변병설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