썰물밀물

군대 시절 GP(Guard Post)와 GOP(General Outpost)에서 근무한 기억이 새록새록 난다. 휴전선 안에 있는 감시 초소와 남방한계선 철책선 소대단위 초소를 일컫는데, 24시간 경계를 서며 북한군 기습에 대비하도록 한다. 늘 비무장지대를 감시하며 적의 동태를 살피는 게 주 임무다.

비무장지대(DMZ·Demilitarized Zone)는 한국전쟁 휴전 협정(1953년 7월) 당시 만들어진 구역. 남·북한은 휴전선으로부터 각각 2㎞씩 병력을 배치하지 않기로 했다. 이런 비무장지대 없이 양쪽 세력이 맞닿아 있으면, 군사적 충돌 발생 위험성을 높인다는 데서 이뤄졌다. 자칫하면 큰 사태를 일으킬 수 있어 비무장지대 역할은 아주 크다.

초소에서 경계를 하며 날을 지샌 후엔 어김없이 닭 대신 꿩이 아침을 알렸다. 이면에선 작전과 훈련 등 군사적으로 치열한 양상을 띠지만, 겉으로 보기엔 평화스러움 자체였다. DMZ는 외부인의 출입을 전면통제했던 만큼, 환경 오염이나 파괴를 찾아볼 수 없다. 자연상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비무장지대에 물안개가 자욱하게 피어오를 때면, 고향생각에 아련히 젖기도 했다. 아무튼 DMZ 얘기가 나올 때마다, 문득 군 생활을 떠올리며 '평화'란 과연 무엇인가를 묻게 한다.

인천시가 북한 접경지역인 강화도 일대를 '평화'를 주제로 한 관광명소로 조성하기로 해 눈길을 끈다. 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추진한 '2023 DMZ 평화테마 공연 페스타' 공모사업에서 1위로 선정돼 국비 7억원을 확보했다. 올해 처음 추진된 이 사업은 DMZ 인근 구역의 생태문화자원과 문화예술·체험행사를 연계해 평화관광 명소로 만드는 계획안이다.

시는 오는 8월이나 9월엔 'DMZ 평화i랜드 뮤직페스티벌'을 열 예정이다. 강화도 일대에서 대규모로 음악축제를 개최하는 일은 거의 없었다. 그것도 '평화'를 매개로 DMZ 부근에서 큰 무대를 펼친다는 데 의미를 갖는다. 하반기엔 'DMZ 평화의길 테마노선 강화코스'를 개통할 계획이다. 아울러 DMZ 접경지역 걷기·방문인증 이벤트·지역관광 홍보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마련한다.

평화통일은 우리 모두의 바람이다. 이 소원이 언제 이룩될 지는 몰라도, DMZ를 개발하지 말고 존치해야 한다는 데엔 이견이 없는 듯하다.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이 많이 서식하는 등 수십년간 자연생태계를 잘 보존하고 있어서다. 역설적이란 말이 새삼스럽다. 비단 강화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반도에 걸쳐 있는 DMZ 일대가 평화관광 명소로 자리를 잡게끔 정책을 펼쳤으면 한다.

▲ 이문일 논설위원.
▲ 이문일 논설위원.

/이문일 논설위원



관련기사
[썰물밀물] 신흥동 옛 시장관사의 변천 중구 신흥동 옛 시장관사(官舍)는 역사적으로 여러 의미를 지닌다. 일제 강점기인 1938년쯤 지어졌다고 알려진다. 무려 80년을 훌쩍 뛰어넘는 변천의 과정을 겪은 셈이다. 답동로 12번길 10에 위치한 단독주택(토지 면적 496.1㎡·연면적 251.46㎡)으로, 지하 1층·지상 2층 구조의 철근콘크리트·목조 건물이다. 해방 후 시민들은 한동안 '부윤관사'로 즐겨 불렀다고 한다.인천시의 '신흥동 옛 시장관사 기록 보고서'를 보면, 지역 주거사를 고찰할 수 있는 귀중한 값어치를 띠었다고 적었다. 여기엔 관사 [썰물밀물] 장서 100만권 품은 미추홀도서관 세계 어디를 가나 도서관과 박물관은 그 곳의 문화 역량 지표로 삼는다. 그만큼 장서 수와 유물·유적 등을 소중하게 여긴다는 의미다. 책은 지식과 마음을 풍부하게 만드는 양식이요, 유물·유적은 자신들의 선조가 살아온 결과물이어서 더욱 그렇다. 그래서 오늘날 세계 유수의 도서관과 박물관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인천시립도서관도 그런 구실을 톡톡히 했다. 비록 일제 강점기인 1922년 1월 '인천부립도서관'이란 이름을 달고 개관했어도, 시민들의 '지적 목마름'을 해소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에 충분 [썰물밀물] 감성 가득한 인천의 노을 “찢기는 가슴 안고 사라졌던 이 땅의 피울음 있다/부둥킨 두 팔에 솟아나는 하얀 옷의 핏줄기 있다/해 뜨는 동해에서 해 지는 서해까지/뜨거운 남도에서 광활한 만주벌판/우리 어찌 가난하리오 우리 어찌 주저하리오/다시 서는 저 들판에서 움겨쥔 뜨거운 흙이여”민중가요로 잘 알려진 '광야에서'(문대현 작사·작곡)란 곡이다. 1980년대 당시 학생운동권에서 즐겨 불렀다. 이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큰 인기를 누린 이 노래를 듣고 부르며 늘 뭔가 가슴이 벅찼던 추억이 새롭다.여기에 나오는 '해 지는 서해'의 중 [썰물밀물] 디아스포라 영화제와 재외동포청 디아스포라(Diaspora)는 '흩어진 사람들'이란 뜻이다. 팔레스타인을 떠나 온 세계에 흩어져 살면서 유대교의 규범과 생활 관습을 유지하는 유대인을 이르던 말. 이를 바탕으로 기획된 제11회 디아스포라 영화제(인천시영상위원회 주최)가 오는 19∼23일 중구 애관극장과 인천아트플랫폼 등지에서 열린다. 1902년 우리나라 첫 이민사를 기록하고 있는 인천에서, 영화를 통해 차별과 편견 등으로 소외를 받는 이들의 다양한 가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이 영화제는 우리 사회 곳곳에 퍼진 디아스포라 관련 문제를 다각적인 관점으로 바 [썰물밀물] 개항 140년, 다시 깨어나는 인천 “잘 있거라 인천아/이별 후에도 벚꽃은 무사히 피어나렴/머나먼 고향에서 쓸쓸한 밤에는/꿈에도 울리겠지 월미도야/기차는 떠나가고 항구는 희미한데/이제 이별의 눈물로 외치나니/뜨거운 인사를 받아줘요/그대여 고마웠어요 부디 안녕!”인천에 살던 일본인들이 1945년 8월15일 조선 해방으로 떠나기 직전 읊조렸던 노래다. 일본인 상조회가 2차대전 때 불렀던 일본군가 '잘 있거라 라바울'의 곡조에 가사만 바꿨다고 한다. 인천이란 도시를 기획했던 일본인들이 어떠한 심정을 갖고 있었는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본보가 기획한 ' [썰물밀물] 강화천문과학관에 대한 기대 학창 시절 경주는 단골 수학여행지였다. 삼국통일을 이룬 신라였기에 둘러볼 데가 정말 많았다. 그 중에서 '세계 최고(最古)의 천문대'를 자랑하는 첨성대(瞻星臺)를 구경하곤 놀랐던 기억이 새롭다. 국보 제31호로, 신라 제27대 선덕여왕 때 건립했다. 경주를 상징하는 이정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름대로 별(星)을 보는 용도였다. 하늘의 움직임을 계산해 농사 시기를 정하고, 나라의 길흉을 점쳤다고 전해진다.첨성대는 한반도 고대 건축물 중 유일하게 후대 복원이나 재건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문화재다. 남동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