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치매 환자 문제에 대해 국가적 책임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치매의 심각성은 가정을 넘어 사회적 질병으로 여겨질 정도다. 가정은 피폐해지고, 이로 인해 가정이 파탄 나는 지경에 이를 정도니 치매 문제에 국가의 책임은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실종 치매 노인 찾기에 핵심 역할을 하는 배회감지기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방정부의 관심 부족이라고 한다.

경기지역에서 양주시 등 일부 지자체들이 실종 치매 노인들을 위한 배회감지기를 경찰 보유 배회감지기를 빌려 쓰고 있을 정도다.

도내 치매 노인 실종은 매년 3000여건 안팎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하루평균 7명, 한 달에 210명 이상의 치매 노인들이 실종되고 있다. 실종사건에 경찰력을 투입해 수색에 나서지만 골든타임인 48시간 이내에 찾지 못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19일 부천에서 실종된 80대 노인이 실종 다음날 인근 하천에서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다.

현재 치매 노인 실종 업무는 경찰에 맡겨진 상태다. 치매 노인 실종을 막을 배회감지기도 경찰이 보유한 4900대가 전부다. 도내 치매 노인 15만명에 견줘 3.2% 수준이라고 하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배회감지기는 인식표와 달리 위치추적 장치 기능이 내장돼 있어 실종 예방에 효과적이다.

치매 노인 보호자가 배회감지기를 소지한 노인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긴급호출도 가능, 노인이 일정 지역을 벗어나면 보호자가 문자 메시지를 바로 받을 수 있다. 그런데도 배회감지기 도입에 나선 곳은 김포, 파주, 시흥 등 극소수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2017년 9월 '치매 국가 책임제'를 선언하고, 전국 모든 보건소에 '치매 안심센터'를 설치해 치매 환자에 대한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도 가장 기초적인 치매 노인의 실종을 막을 수 있는 배회감지기 보급에는 무관심으로 일관하고 있다.

치매는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는 일이다. 초고령 시대에 치매 예방과 치료에서부터 사회적인 안전망 구축에 국가와 지방정부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