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출범한 인천시 '환경특별시추진단'이 1호 과제로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꼽았다. 인천 앞바다 해양쓰레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대변한다.

지난해 인천 앞바다에서 2991t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이는 2019년 1578t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다. 해양쓰레기 중에서도 해안가에 쌓여있는 해안쓰레기가 가장 많았다. 해안쓰레기는 2019년 160t에서 지난해 1495t으로 무려 829% 증가했다. 지난해 예년보다 태풍이 잦아 쓰레기가 바다로 흘러들어 양이 늘어났다고 하지만 증가 폭이 심상치 않다.

인천 앞바다는 생태자원 보고로서의 가치가 높다. 하지만 육지로부터 밀려오는 생활쓰레기, 어선에서 버려진 쓰레기, 심지어 중국에서 발생한 쓰레기 등이 쌓여 바다가 망가지고 있다. 인천시는 해마다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지만 바다환경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염분•이물질 등이 포함돼 처리가 까다로울뿐 아니라 처리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게다가 수거하기 힘든 미세플라스틱이 바닷속에 쌓여 생태계 교란까지 일으킨다.

해양쓰레기 증가를 막으려면 무엇보다 육상쓰레기 해상 유입을 방지해야 한다. 한강하구 등을 통해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는 해양쓰레기의 60% 정도를 차지한다. 이를 방지하려면 바다로 향하는 하천들에 설치된 쓰레기 차단막 수를 늘리는 등 미리 수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쓰레기가 일단 바다에 들어오면 비싼 대가를 치르게 된다. 어업인들이 폐어구를 함부로 바다에 버리지 못하도록 지도•단속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해양쓰레기 수거 인력과 장비, 관련 예산을 늘려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는 중국에서 발생한 해양쓰레기다. 이것들은 바다를 떠돌다 우리나라 해변으로 밀려들거나 무인도에 쌓이기도 한다. 중국 발 미세먼지와 황사로 국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쓰레기마저 가세하고 있다. 미세먼지•황사와 달리 쓰레기는 중국 측이 연안에서 적극 수거하면 우리나라로의 유입량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중국에 쓰레기 수거를 강력하게 요구하는 외교적인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