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울·경기 자치단체장이 직접 만나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으로 보여 그 결과가 주목된다. 환경부 계획을 보면 난항을 겪는 수도권매립지 사용과 관련한 문제를 풀기 위해 박남춘 인천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 이재명 경기지사와의 회동을 추진하고 있다. 2025년 이후 수도권 쓰레기를 버릴 장소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다.

현재 인천·서울·경기 쓰레기는 1992년 이후 서구 수도권매립지에 묻고 있는데, 인천시는 2025년 현 매립지 사용을 끝내겠다고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30여년 간 다른 지역 쓰레기까지 받아 환경 피해는 물론 지역 개발에도 지장을 받는다는 이유에서다. 인천의 강경한 뜻에 따라 환경부와 서울·경기는 대체 매립지를 찾기 위해 2500억원의 특별지원금을 내걸고 최근 3개월간 매립지 유치 희망 지자체를 공모했지만, 수포로 돌아갔다.

인천시는 2025년 이후부터는 서울·경기 쓰레기를 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렇게 쓰레기 독자생존 행보에 나서면서, 옹진군 영흥도에 인천 쓰레기만 처리할 자체 매립지 조성 계획을 구체화하는 중이다. 안정적인 폐기물 처리를 위한 자원처리시설 건립 계획도 단계별로 벌이고 있다. 이런 정책들은 서울과 경기에 자체 매립지를 확보하라는 압박인 동시에, 쓰레기 처리에 대한 지자체의 변화를 촉구하는 일이다.

결국 서울과 경기가 대체 또는 자체 매립지를 찾지 못하면, 쓰레기 대란은 불을 보듯 뻔하다. 서울과 경기는 허송세월을 보내며 '어떻게 되겠지'란 안일한 생각을 버려야 한다. 아울러 최악의 쓰레기 상황을 막기 위해 수도권 단체장 간 즉각적인 만남은 불가피하다. 하지만 그간의 행태를 보면, 서울과 경기는 현 매립지 사용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인 듯하다. 지자체마다 외쳤던 '수도권 상생'이 헛구호로 여겨지는 대목이다.

서울과 경기는 인천을 더 이상 수도권을 위한 희생양으로 삼으면 안된다. 이제는 '쓰레기 발생지 처리' 원칙과 함께 각 지자체의 정책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인천시로선 현 매립지를 계속 사용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인천시민들의 생각도 그렇다. 수도권 단체장들은 당장 만나 인천의 요구를 수용하는 쪽으로 매립지 문제를 협의하길 바란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