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20일은 국가가 지정한 장애인의 날이다. 또 다른 이날의 별칭은 '장애인 차별 철폐의 날'이다. 그만큼 장애인을 우리와 함께해야 할 동반자로 삼기는커녕, 알게 모르게 차별을 하는 대상으로 여긴다는 뜻이리라. 우리 사회는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장애인에 대해 더 보살피도록 힘을 쏟아야 한다. 당국에선 법적인 책임 말고도 이들을 보호·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펴야 마땅하다.

마침 장애인의 날을 맞아 찾아간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앞날은 불투명했다. 가뜩이나 어려운 판에 코로나19까지 겹쳐 매출 타격이 아주 커 울상을 짓고 있다. 시설마다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거나 판매 상품을 개발해 자구책을 찾지만, 제도적 한계에 부딪히기 일쑤다. 인천 동구 내 칫솔제조 장애인직업재활시설 '핸인핸'의 경우 지원 사각지대에 놓여 어려움을 겪는다. 전 직원 중 장애인 35명, 비장애인 25명인 핸인핸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매출 감소로 애를 먹는다. 수익만으로 90%의 운영비와 인건비를 조달해야 하지만, 터무니없이 모자란다.

핸인핸을 비롯한 대부분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사회적 기업으로서, 중소기업에 속하지 않고 장애인복지시설로 분류돼 제대로 지원을 받지 못한다. 이러니 장애인 근로자를 충원하고 질좋은 일자리를 제공하기란 그저 '희망사항'일 뿐이다. 물론 친환경, 스마트 공장 구축은 먼 나라 얘기다. 이런 문제는 비단 핸인앤만 겪는 게 아니다. 인천의 시설 33곳이 코로나19 이전보다 힘든 생활을 이어간다. 감염 우려로 시설 이용 시간이 확 줄어들어서다. 시설에 나오지 못하는 장애인 근로자는 집에서 지낼 수밖에 없다. 종사자는 매출 감소로 인한 부담을 떠안는 데다 출근하는 최소한의 근로자도 생산과 납품을 도맡으면서 육체적 어려움을 감내해야 한다. 게다가 타 복지시설처럼 휴관을 할 수도 없고, 물품 생산을 중단하면 거래처를 잃게 된다.

이들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통해 사회적 경제에 기여하는 곳이다. 그런 만큼 '지역형 사회적 기업' 등으로 지정해 각종 혜택을 주는 일이 절실하다. 아울러 이들이 생산한 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공기관 등에 납품할 수 있는 판로도 중요하다. 어떻게 해서든 살아보려고 발버둥치는 장애인들에 대해 당국에선 묵묵부답으로 일관해선 안된다. 장애인들과 함께 가는 정책이 시급하다.

/인천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