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과 같은 조직이 있다. 인천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협회, 인천광역자활센터, 인천광역시노인인력개발센터, 인천녹색구매지원센터, 인천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인천광역시 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 인천민주화운동센터, 인천광역시 사회적경제지원센터, 인천상생유통지원센터,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인천광역시자원봉사센터, 인천주민참여예산지원센터, 인천테크노파크, 인천광역시 환경교육센터 등.

명칭만큼이나 역할도 다양하다. 건강가정, 취약계층 자활, 노인활동, 녹색 상품 판촉, 도시재생, 마을공동체, 사회적 경제, 평생교육, 자원봉사 지원 등. 시민생활에 밀접하거나 시민활동을 지원하거나, 우리 사회가 지향해야 할 정책 과제를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 시민들에 대한 지원을 넘어 각 영역의 단체들과 네트워크와 교류를 촉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시민들도 지원이 필요하면 각 센터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지원 내용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요청하면 된다.

대부분 인천시 소속이며 중앙행정부처와 같이 운영하는 경우도 있고, 공무원 신분은 아니고 해당 전문 분야에서 활동하셨던 분들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바로 행정 공공서비스의 대안적 방식으로 직영, 민영, 민간위탁 등의 방식으로 중간지원조직을 신설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명칭에는 '중간'이란 낱말이 들어가지만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시민과 행정을 이어주며 시민들의 공공 활동을 지원하며, 정책을 실행하는 민관협치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중간지원조직은 전문성도 있고, 시민에게 맞는 적절한 지원을 탄력적으로 하지만 각 중간지원조직들이 갖는 어려움도 있다. 행정과 같이 정책의 공동 생산과 실행자로서 협치의 한 주체로 성장하고 있지만 행정과의 관계에서의 불평등, 재정자립도 취약, 위_수탁 과정 및 성과평가 제도 개선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각 담당 행정 부서가 다름으로 나타나는 중간지원조직 간의 협업과 공동사업의 추진에 어려움도 있다. 결국 행정 서비스의 수혜자인 시민들에게 맞춤형 지원을 잘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돼야한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작년 9월 첫 논의가 시작된 이후 수차례에 걸친 중간지원조직 전체회의 및 워킹그룹 회의, 그리고 두 번의 토론회를 개최하여 의견을 모았다. 그리고 지난달 30일 '인천광역시 중간지원조직네트워크'를 출범시키고 인천시와 중간지원조직 활성화 및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한다는 취지로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인천시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조례' 제19조 협약의 체결, 제21조의 민관협치 유관 조직 간 네트워크 구축을 근거로 하였다. 중간지원조직의 활성화를 통해 시민들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와 인천시의 협치를 기대한다.

 

/박재성 인천시 협치인권담당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