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월 초 중국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발병했다는 소식을 접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과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보다 전파력이 낮다는 중국정부 발표로 걱정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확진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고 같은 달 20일 국내에서 첫 확진자까지 나왔다.
"우리는 정말 안전한가?" 방역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온 국민이 불안에 떨었던 메르스 사태가 재현될까 불안했다. 초동대처에 빈틈이 없는지 살펴봤다. "신종 코로나 의심환자가 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하나도 없어요", "상급기관에 보고한 후 기다리는 수밖에 없습니다", "의심환자를 격리하는 데 1시간 넘게 걸렸어요".

미흡했다. 감염병 역학조사관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메르스 사태 이후 5년이 흘렀지만 개선되지 않았다. 도민 1300만명을 단 1명이 관리하는 수준이었다. 정부가 시·군에 역학조사관을 둘 수 있는 권한을 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역학조사관은 특정 감염병 원인과 특성을 파악하는 방역대책 전문가다. 오염지 폐쇄와 환자 격리 여부 등을 결정짓는 권한을 갖고 있다.

그렇다 보니 감염병 환자와 가장 처음 마주하는 일선 시·군은 신속한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공기관의 감염병 의료시스템은 오히려 퇴보했다.

메르스 사태 당시 수많은 환자를 치료하면서 활약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은 전문의가 1명 밖에 없다. 지난해에만 4000명 넘는 환자를 홀로 살폈다.

여기에 이천, 파주 등 도의료원 6곳의 감염병 업무까지 더해졌다. 급여도 다른 부서 의사들과 비교해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수익성이 낮다는 이유에서다. 이 전문의는 열악한 환경을 버티지 못하고 2월 퇴사하기로 했다. 문제는 또 있었다. 정부는 감염병이 유행하면 마스크 등 방역물품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하고도 후속 조치를 하지 않았다. 이렇다 보니 경기도와 도교육청 등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결국 메르스 때와 같은 '마스크 품귀현상'이 발생하면서 시민들은 발만 동동 굴렀다. 감염병에 대비하기 위한 투자비용을 조금이라도 아깝다고 생각한다면 주먹구구식으로 될 수밖에 없다는 전문가 말에 공감이 간다.

방역당국에 묻고 싶다. 방역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졌다고 자부할 수 있는지.

이경훈 경기본사 사회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