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책 걷어 개방성 확보하고 원도심 연계 콘텐츠 개발을"
▲ 1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열린 '인천녹색연합 2019년 녹색현장포럼'에서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이 '인천 해안선 답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인천 앞바다를 시민들에게 되돌려주기 위해선 바다를 가리고 있는 철책과 제방을 제거하고 갯벌과 포구를 활용한 친수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녹색연합은 1일 오전 중구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친수공간 관점에서 본 인천 해안 비전과 과제'란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서는 주민들이 바다에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날 발제에 나선 기윤환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인천에 해양친수공간을 조성하기 위해선 철책 등을 제거해 개방성을 확보하고, 인천 바다의 특징인 갯벌과 포구를 활용해야 한다"며 "원도심과 연계해 지역 콘텐츠를 만들거나 어항 기능을 활용한 해양생태체험장 등 시민들이 체험하고 공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화군과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도심지역 해안선의 길이는 212㎞로 이 가운데 63.6㎞ 구간에 군 철책이 설치돼 있다. 전문가들은 해안선 철책 등을 제거한 후 인천에 친수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지역이 20여곳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해안지역 관리권과 승인권을 중앙정부가 쥐고 있어 인천시가 친수공간을 개발해 관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입을 모았다.

기 연구위원은 "인천 해안변 토지의 30%를 중앙정부가 소유하고 있고, 11개 준설토 투기장 중 10개 지역이 해양수산부와 인천항만공사 관리지역으로 포함돼 있다"며 "시가 해안지역 계획을 위해 이용권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환경단체들이 올 6월부터 9차례 현장 답사를 진행한 결과 인천에서 해안선을 찾아보기 힘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닷물을 만져볼 수 있는 곳은 월미도와 소래뿐이었다.

장정구 인천녹색연합 정책위원장은 "인천 해안선을 종주하면서 온전히 바다를 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철책을 넘거나 성인키보다 높은 제방에 올라타야 했다"고 말했다.

/이아진 기자 ato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