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건 확진 판정 몰리자 3만여 마리 '예방적 살처분'…태풍 피해 수습 중 '설상가상'


강화대교와 초지대교로 육지와 연결된 섬 지역인 인천 강화군 양돈농가가 전멸되는 사태에 처했다. 방역당국은 강화 전역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번졌다고 판단해 전체 돼지를 예방적 살처분하는 특단의 조치를 내렸다. 인천 양돈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강화군은 ASF 최대 피해 지역이 됐다.

강화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상태였다. 이달 초 태풍 '링링'이 관통하면서 총 934건, 70억8000만원에 이르는 피해를 입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불거진 ASF 사태로 인한 지역경제 피해는 가늠조차 하기 어렵다.

▲"강화, 바이러스 창궐 직전"
강화군 ASF 사태는 지난 24일 확진된 송해면 농가에서 시작됐다. 지난 16일 경기 파주에서 국내 최초로 발병한 ASF는 전날 김포까지 내려왔다. 발생 농가에서 기르던 돼지 388마리가 매몰 처리됐지만, 사태는 급속도로 확산됐다. 25일 불은면 869마리 농가에 이어 27일 하점면 2000마리 농장에 이르기까지 최근 5건 확진 판정이 강화군에 몰렸다.

ASF 잠복기는 4~19일로 알려져 있다. 바이러스로 전파되는 ASF에 대한 치료법이나 백신도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강화군 가축방역심의회가 모든 양돈농가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 결정을 내린 까닭이다. 앞서 정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행동지침'에서 발생 농장 반경 500m 이내로 정한 살처분 범위를 반경 3㎞까지 넓힌 바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28일 범정부 ASF 방역대책회의에서 "양성 확진 9건 가운데 5건은 모두 강화에서 나왔다. 강화는 바이러스가 거의 창궐 직전까지 갔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다른 돼지들도 예방 처분을 하기로 농가들과 합의가 이뤄졌다. 비상 조치에 협조해주신 양돈농가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태풍 이어 '엎친 데 덮친 격'
3만8000여 마리에 이르는 강화 전역의 살처분으로 인천 양돈업계 기반은 무너졌다. 강화군을 제외하면 인천 양돈농가는 남동구·계양구·서구·옹진군의 8곳만 남는다. 이들 농장 사육 돼지는 5107마리에 그친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인천에선 강화 8만 마리를 포함해 10만 마리의 돼지가 사육됐다. 2002년 강화에서 발생한 돼지콜레라(돼지열병)으로 1만여 마리가 살처분됐고, 2010년과 2015년 연이어 터진 구제역 파동으로 3만 마리가 넘는 돼지가 매몰 처리되며 양돈업계는 반토막 난 상황이었다.

강화 지역경제 피해도 커질 전망이다. 태풍으로 인한 인삼 농가, 어업 피해 등에 이어 ASF 사태가 겹치면서 10월12~13일로 예정된 외포리 새우젓 문화축제 등의 관광 행사도 취소됐다. 강화군 관계자는 "청정지역 이미지 훼손으로 장기적인 지역경제 침체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강화 돼지열병 꼬리표 … 결국 몰살 조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으로 인천 강화군 모든 돼지가 살처분되는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국내 9건 확진 사례 가운데 지난 24일 이후 5건이 강화군에 몰리자 전체 돼지 농가로 살처분 대상을 확대하는 특단의 조치가 내려진 것이다.돼지콜레라·구제역에도 버틴 강화 돼지의 씨가 마르면서 사실상 인천 양돈업계도 붕괴됐다. ▶관련기사 3·19면농림축산식품부와 인천시, 강화군은 ASF 확산을 방지하는 특단의 대책으로 강화군 내 모든 돼지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을 확정했다고 29일 밝혔다.시와 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참여한 강화군 가축방역심의회는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