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서 돼지열병 또 확진]
▲ 24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확진된 김포시 통진읍 한 양돈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가 돼지들을 살처분하고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정부와 경기도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초기부터 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단계'로 유지한 방역을 펼쳤음에도 도내 곳곳에서 연이어 발생하면서 방역이 무기력한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경로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서 방역 대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4일 농림부에 따르면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은 구제역 발생 때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방역 시스템은 4차로 이뤄져 있다. 1차는 철저하게 외부와 차단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이다. 2차는 차량 통제소를 두고 들어오는 차량에 대해 철저하게 소독하는 것이며 3차는 야생동물 침입을 막기 위해 생석회를 원형 띠 모양으로 둘러 들어오지 못하게 조치하는 것이다. 4차는 발생 농가와 인근 농장의 돼지를 살처분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밀검사에서 확진 판정이 나오면 해당 농가의 돼지와 반경 3㎞ 이내 농가의 돼지 또한 예방적 차원에서 살처분한다.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이동제한 조치와 일시이동중지명령을 내리고, 통제초소와 거점소독소를 설치해 운영한다.

그런데도 파주, 연천, 김포 등 경기 서북부 지역에 빠르게 퍼지고 있어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농림부는 역학조사를 계속 진행하고 있으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왜 발생했는지, 병을 옮기는 매개체는 무엇인지조차 확인하지 못한 상태다.
게다가 김포 발생 농장과 이날 확진된 파주 2차 발생 농장은 지난 19∼22일 혈청검사에서 이상이 없었던 농장들이다.

결국 구제역과 같은 방식의 방역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는 셈이다. 백신조차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막을 수 있을지 확신하기도 어렵다.
도 관계자는 "효과적인 차단 방역을 위해서는 최초 감염 경로와 바이러스를 퍼트리는 매개체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며 "농림축산 검역본부에서 정밀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으나 아직 감염경로가 나오지 않아 답답하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도는 농림부의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사람과 차량의 접촉을 막는 차단 방역 등 기본 방역에 충실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도 관계자는 "아직 뚜렷한 원인이 파악되지 않은 만큼 기본에 충실해 방역에 신경 쓰겠다"며 "이재명 경기지사가 돈을 신경 쓰지 말고 방역에 힘을 쓰라고 주문해 도에서 지금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시군에 도비 10억씩 주고 현재 114억을 줬거나 줄 계획이다. 또 추가로 55억원의 예산을 긴급 추가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채은 기자 kce@incheonilbo.com


관련기사
파주 적성·강화 …또 돼지열병 확진 방역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해 살처분 범위를 확대하는 등 최대 강도 대응을 유지하고 있지만 일주일 새 파주에서 또다시 확진판정이 나오면서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관련기사 3·18면농림축산식품부(농림부)에 따르면 지난 23일 파주시 적성면 소재 양돈농장에서 모돈(어미돼지) 3마리가 유산 증세를 보인다는 ASF 의심 신고를 받고 정밀검사를 진행한 결과, 24일 오전 4시쯤 확진(양성) 판정이 났다.이 농장은 지난 18일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판정을 받은 연천의 돼지농장에서 6.9㎞ 떨어진 곳에 있으며 어미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