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빠진 수도권 3개 시·도만의 쓰레기 대체매립지 논의라면 실현되기 힘든 시간낭비일 뿐이다.
각종 행·재정 지원에 나서야 할 환경부가 수도권 쓰레기매립지에 남아 있는 106만㎥ 규모의 3-2매립장을 새로 개방해 인천을 계속 수도권 쓰레기 처리장으로 묶어두려는 속셈이 아니냐는 의혹마저 들게 한다.
이미 합의된 대체부지 조성은 뒷전이고 수도권매립지의 사용 연장을 노리는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그동안 인천 서구 지역주민을 비롯한 인천시민의 삶의 질 측면에서도 서울, 경기와 비교해 불공정한 피해를 감수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부는 대체매립지 공모에 공동명의로 참여해 달라는 수도권 3개 시?도의 요청을 수용하지 않고 있으며, 지난 6일 개최하려던 4자회의도 무산된 것으로 알려진다.
더 이상 인천은 수도권 쓰레기 처리 도시로 남을 수는 없다. 이미 2015년 4자 협의를 통해 대체매립지 조성에 합의한 바 있으나 2025년 사용이 종료되는 수도권매립지 문제 해결에 당사자들이 미온적인 태도로 차일피일 미루는 인상이다.

22일 민주당 이해찬 대표와 가진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박남춘 인천시장은 다시 한 번 정부·여당의 협조를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지난 4월17일 인천시청에서 열렸던 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이 대표가 4자 협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후 4개월이 지났지만 달라진 게 없기 때문이다.
박 시장의 수도권매립지 연장 불가 방침은 확고하다. 발생지 처리 원칙을 주장하고, 이에 따라 서울, 경기 지자체들도 자체 매립지를 강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으로는 서울, 경기의 쓰레기가 인천에 유입돼서는 안 된다는 지역발전 논리를 살린 인천 쓰레기주권 선언으로 풀이된다.

박 시장의 판단은 곧 인천시민의 입장과 맥을 같이 하는 공정성이 핵심이다. 30여년이 되도록 쓰레기 피해를 안고 산 인천이다. 자체 매립지 조성계획에 착수하게 될 인천의 명분은 충분하다. 환경부가 인천, 경기, 서울이 수긍할 4자 협의의 장에 적극 나서 실타래를 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