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싱크홀'로 불리는 땅꺼짐(지반 침하) 현상이 증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땜질식 수도관 관리'가 대표적인 원인으로 지적되자, 정부는 땅 밑 하수관로에 대해 정밀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18일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인천에서 발생한 땅꺼짐 사고는 모두 73건이다.

2014년 중구 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공사 등으로 인한 땅꺼짐이 3건 발생한 이후 2015년 7건, 2016년 19건, 2017년 26건, 2018년 18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난 지역은 중구다. 지난 5년간 중구에서만 땅꺼짐이 모두 21건 발생했다.

이어 서구 18건, 미추홀구 12건, 남동구 7건, 부평구 6건, 계양구 5건이 발생했고 연수구·동구에서도 2건씩 땅꺼짐이 있었다.

땅꺼짐 사고의 절반이 넘는 53%(39건)은 상·하·오수도관 때문으로 나타났다.

주변을 공사하다 관로를 파손한다거나 수도관 공사 이후 미흡한 후속 조치로 인해 생긴 사고가 17건이었다.
오래된 관로에서 물이 새면서 발생한 땅꺼짐 사고도 11건이나 됐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8월 부평구 산곡사거리에서 발생한 6m 폭의 땅꺼짐은 오래된 상수관의 누수 현상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문가들은 땅 밑에 묻힌 수도관에 대해 '땜질식'으로 대응해온 점을 가장 큰 문제로 지적한다.

현인환 단국대 명예교수는 "대부분 지자체가 수도관로 상태 등에 대한 총제적인 점검 대신, 땅꺼짐 사고가 날 때면 일시적으로 주변 관로를 점검하는 수준에 그쳐왔기 때문"이라며 "6·25전쟁 이후 수도관로가 대부분 파괴되고 1970년대 집중적으로 수도관이 만들어졌으나 지난 30년간 수도관이 어떤 상태인지 최소한의 실태조사조차 없었다"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연말까지 전국 노후 하수관로 3103㎞에 대한 정밀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올해 조사를 진행하는 26개 지자체 가운데, 인천의 노후 하수관은 751㎞으로 전국에서 가장 길다.

강복규 환경부 생활하수과장은 "하수관 등 지하 시설에 대한 체계적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라며 "올해 정밀 조사를 시작으로 2023년까지 노후 하수관 4만㎞를 연차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