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붉은 수돗물 사태의 정상화를 선언했다고 한다. 인천 서구에서 적수 민원이 제기된 지 67일 만이다. 그간 해당 지역의 일반 가정에서는 매일같이 무거운 생수 묶음을 사들여야 했다. 각급 학교에서는 수돗물을 쓰지 않는 대체 급식을 하느라 애를 썼다. 수돗물을 써야 장사를 할 수 있는 가게들도 힘든 시기를 보내야 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이 5일 "인천의 수돗물 수질이 붉은 수돗물이 발생한 이전 상태로 회복됐다"며 수질 정상화를 선언했다. 이번 사태에 따른 보상문제의 협의·시행과 근본적인 수질 개선을 위한 단기, 중장기 상수도 혁신과제에 집중하겠다고도 했다. 인천시 전 공직자가 머리숙여 반성하고 행정 신뢰를 회복토록 노력하겠다는 다짐도 있었다.

붉은 수돗물 민원은 지난 5월30일 오후 서구에서 처음 접수됐다. 이날 오전 서울 풍납취수장·성산가압장의 설비 점검으로 서구·영종·강화 등지에는 기존 공촌정수장이 아닌 남동·수산정수장에서 수돗물이 공급됐다. 그러나 단수를 피하기 위한 수계전환 과정에서 수도관로의 수압을 2배 이상 높힌 것이 사태를 촉발시켰다. 수도관 내부 침전물이 떨어져 섞이면서 수돗물이 붉어진 것이다.

서구를 넘어 영종, 강화로까지 확산됐지만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수질 적합'만 반복했다. 안일하기 짝이 없는 초동대응이었다. 사태를 키울대로 키운 다음에야 '100% 인재'라는 환경부의 진단까지 받아야 했다. 특히 해당 정수장의 탁도계가 아예 고장이 나 있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수돗물을 정수해 공급하는 과정에 있어 탁도계가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는 일반 시민들도 짐작할 수 있는 문제 아닌가.
시민들의 고통과 불편에 앞서 이번 사태가 관계당국의 직무태만에 가까운 '인재'에서 비롯됐다는 점이 그 무엇보다도 큰 충격으로 다가온 사태였다.

이는 인천시정 전반에 대한 불신을 낳았고 지역사회 내부의 갈등으로까지 이어졌다. 따라서 이번의 인천 수돗물 정상화 선언은 사태의 종결이 아니라 새로운 출발점이어야 한다. 이번 사태에서 배우고 깨달은 것이 없다면 우리는 앞으로 더 비싼 댓가를 치를 수도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