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네이버 제2 데이터센터 유치 공모에 참여할 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고 한다. 이미 용인에서 주민들의 반대에 부닥쳐 좌절된 사업이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이 사업의 성격에 비춰 일자리 창출이나 지역경제 기여도 등도 불확실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특히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대여부가 더 신경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인천은 지금도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설사업이 주민 반대에 직면해 있다. 그렇다고 마냥 손을 놓고 있는 자세가 능사일 수는 없다.
네이버는 지난 12일 '네이버 데이터센터 부지 제안 홈페이지'를 열었다. 오는 23일까지 참가 의향서를 접수하는 창구다. 데이터센터는 서버와 저장장치 등 전산설비를 구동하는 공간으로 인터넷 서비스 회사의 심장으로 비유되는 핵심 시설이다. 신청 자격은 전체 부지 면적 10만㎡, 지상층 연면적 25만㎡이고 방송통신시설 허용 부지 또는 2020년 1분기까지 용도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네이버는 당초 이 데이터센터를 경기도 용인에 지을 계획이었지만 부지 인근 주민들이 건강을 위협한다며 반대해 무산됐다. 인천시는 이 데이터센터가 장차 앵커시설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초점을 모으고 있다. 연구소나 인재개발원 등 네이버의 또 다른 사업시설을 연쇄적으로 인천에 유치할 수 있을지 여부다. 데이터센터 하나 만으로는 서버 집합체로서 고용창출 효과가 크지 않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어서다. 이번 공모에는 인천시뿐만 아니라 경기 의정부와 파주, 전북 군산 등이 유치 의사를 밝힌 상태다. 전체 사업비가 5400억원이며 2024년 완공 예정이다.

인천은 이미 하나금융그룹의 데이터센터가 가동 중에 있다. 이 센터가 앵커 역할을 해 연수원 등 하나금융타운으로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 막연한 불안감의 대상인 전자파도 일반 가정의 거실 수준이라고 한다. 인천은 구도심이든 신도시든 이 시설이 들어설 입지는 충분히 마련돼 있다. 네이버가 인천에 입성하면 그 자체가 도시 브랜드가 될 수도 있다. 인천시는 보다 전향적인 자세로 공모 참가 여부를 결론지어야 할 것이다. 인천의 미래를 가꿔 나가기 위해서는 때에 따라서는 용기도 필요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