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국비 바라기'만…최계운 인천대 교수 "시비라도 투입을"
인천시가 시민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기 위해 추진 중인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이 예산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시는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조기 도입하겠다는 목소리를 내면서도 구체적 재원 조달 방안을 수립하지 않은 채 하염없이 국비 지원만 바라는 모양새다.

9일 시에 따르면 2013년부터 인천지역 정수장 4곳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조기 도입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일반 정수 방법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농약 등 해로운 물질을 처리하고자 활성탄과 오전처리법 등을 활용한 정수 시설을 말한다. 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만들고자 2차례에 걸쳐 물을 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6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설치 중인 정수장은 4곳의 정수장 중 2곳뿐이다. 부평정수장은 활성탄 처리시설이 완공됐지만 아직 오존시설은 건설 중에 있다. 2016년 착공한 공촌정수장은 현재 활성탄 시설을 설치하는 단계다. 나머지 남동·수산정수장은 사업을 추진도 못한 상태다.

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에 수백억원이 드는 탓에 국비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지만 서울의 경우 이미 지역 내 모든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시는 붉은 수돗물 공급 사태로 남동·수산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조기 도입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내비치고 있지만 추가경정예산 확보 등 별다른 노력 없이 그저 국비 지원만 바라보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에선 인천 전역에 깨끗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당장 시비를 투입해서라도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존 재래식 정수시설 운영을 계속 고집하면 적수 사태가 재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계운 인천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국비 지원이 어렵다면 시비를 투입해서라도 물 공급 체계 개선에 힘써야 한다"며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은 정수시설 개선 사업 중 가장 시급한 사업"이라고 제언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그동안 국비 지원이 더딘 탓에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이 지연돼온 것은 사실"이라며 "최대한 조기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


관련기사
"물이용부담금 언제까지 내야하나" 20년간 인천지역에서 '묻지마 징수'의 대명사가 돼버린 물이용부담금제가 서구 붉은 수돗물 공급 사태를 계기로 전면 개편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한강 상수원 보호'란 틀에 갇혀 한강 상류지역에 편중된 부담금 사용처를 인천 등 하류지역으로 확대해 물 공급 체계의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관련기사 3면9일 인천시에 따르면 물이용부담금제는 한강 상수원 수질을 보호한다는 취지로 1999년 도입된 제도다. 납세 대상은 한강 하류에 있는 인천과 서울, 경기 일부 지역이다.물이용부담금으로 조성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