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에서 광역지자체들에 파견돼 있는 국제관계대사직이 외교부 고위 공무원들의 '쉼터'가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다고 한다. 추천권을 쥐고 있는 외교부의 인사행정 사정에 따라 시도 때도 없이 왔다 갔다를 반복하고 있어서다. 당초 지방자치단체의 국제적 역량을 키우겠다는 취지도 무색하다. 이런 사정이니 당사자들도 업무에 대한 의욕이나 책임감을 가지기 어려울 것이다. 파견된 지자체에서 고액 연봉을 받으면서도 다른 좋은 자리나 기웃거리는 국제관계대사가 인천시민들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인지 따져봐야 할 것이다.

인천의 경우, 인천시는 지난달 24일 윤상수 전 주시드니 총영사를 국제관계대사에 임용했다. 박상진 전 인천시 국제관계대사가 외교부 인사에서 주덴마크 대사로 내정돼서다. 박 전 대사는 지난해 6월 인천에 왔으니 1년도 못 채웠다. 인천시는 4급 직원을 외교부로 파견하는 대신 고위 외교부 공무원을 국제관계대사로 채용하는 인사교류를 하고 있다.

국제관계대사의 직급은 지방 별정직 5급 공무원이지만 급여는 외교부에서 받았던 수준의 연봉을 받는다. 1억원을 웃도는 부시장 수준의 연봉에 가족수당, 자녀학비수당 등도 지급된다. 이런 대우에도 임기 2년을 채우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외교부 인사 때마다 다음 자리를 찾아 훌쩍 떠난다. 실제 2009년 임용된 신현석 대사 이후 역대 인천시 국제관계대사 8명이 인천에 내려와서는 모두가 도중에 돌아갔다. 겨우 9개월 머물다 떠난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러니 본인들도, 인천시의 국제업무 관련 공무원들도 으레 '쉬어가는 자리'로 인식하게 된다. 업무의 연속성도 기대하기 어렵다. 고액 연봉을 지급해 시민들의 세금만 낭비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그래서 나온다.
이런 자리를 두고 공무원 사회에서는 이른 바 '위성 공무원'이라고 부른다. 뚜렷이 할 일도 없이 적당히 떠돌다 괜찮은 자리가 나면 떠날 수 있는 그런 자리다. 파견하는 기관에서는 고위직 자리도 늘리고 내부 인사적체를 해소하는 방편도 된다. 국민세금 낭비에 앞서 직업윤리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와 반대로, 인천시에서 외교부 등 타 기관으로 파견된 직원들도 국제관계대사처럼 떠도는 직책은 아닌지 따져 볼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