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다고 정치적 '야망' 묻지만 청년시민 입장에서 고민할뿐
▲ 신정현(민주당·고양3) 경기도의원이 지난 23일 경기도의회 정문에서 자신의 정치철학과 앞으로 의정활동 방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철빈 기자 narodo@incheonilbo.com

"더 많은 세대들과 다음 시대와 세대를 준비하는 정치인이 되고 싶다."

신정현(민주당·고양3) 경기도의원은 남은 3년여 의정활동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정치는 다음 선거를 준비하는게 아니라 다음 세대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정치를 혐오하는 게 선거만을 생각하는 정치인만을 봤기 때문이에요. 주위에서 저에게 '재선, 3선 도전의사'나 '젊은 사람이 정치를 했으니 어디까지 갈 것이냐'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저는 다음 선거를 고려하지 않아요. 그 대신 저를 비롯한 다음 세대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어요."

그는 지난 2012년 민주통합당 국회의원 청년 비례대표 출마에 뛰어들면서 정치라는 범주에 들어왔다. 당시 석유회사를 다녔던 그는 국회의원의 권유를 받고 한달을 고민하다 출마를 결심했다. 결과는 탈락이었다. 그렇지만 삶에 치여 잊어버렸던 자신의 꿈을 다시 꾸게 됐다. 그는 시민운동을 통해 세상을 바꾸는 꿈을 꿨었다.

고등학생때는 '학생회 운동'를 했다. 당시 고등학교 학생회장을 맡았을 때 일산신도시가 만들어진지 2~3년밖에 안돼 학생회 활동이 약했다. 그는 학생들의 주권을 회복하자는 취지로 지역내 중고등학교 연합회를 만들어 학생회 운영 등을 고민했다.

대학생이 되자 민주시민운동, 정치교육운동을 했다. 청소년정치참여네트워크, 즉 청정넷을 만들어 법제화 운동으로 확대했다. 대표 운동이 바로 선거 참여 연령 낮추기였다. 당시 선거권은 만20세이상이었는데, 만18세이상에게도 선거권 참여를 낮추자는 것이다. 50여개 청소년단체와 연대해서 당시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대표의원으로 입법청원한 결과 지난 2005년에 선거권이 만19세이상으로 낮아졌다.

"어릴 때부터 주권자, 민주주의에 대한 고민이 많았어요. 뭐 심오하게 공부를 했던 시기는 아니었죠. 그래도 학교 주인은 학생, 고양시 주인은 고양시민, 학생도 시민이다라는 생각들을 항상 했어요. 지금도 변함이 없는데 당사자 정치참여가 필요하고, 당사자 정책에는 당사자의 목소리가 담기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7년여 시간동안 잊었던 꿈이 청년비례 출마에 뛰어들면서 되살아났고, 회사를 과감하게 뛰쳐나올 수 있는 힘이 됐다.

"사실 비례의원 선발에 떨어지면서 회사에 복귀하려 했어요. 아무래도 집안 사정을 고려하게 됐죠. 복귀 당시 회사에서 정치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요구했고, 그 순간 제가 60대가 되서 지나온 삶을 돌아봤을때 가슴뛰는 삶은 어느쪽일까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내일을 알 수가 없어 60대 신정현에게 물어본거죠. 그랬더니 각서 대신 사표를 쓰라고 하더라고요."

그 이후 제주강정마을에 내려가서 2년 정도 해군기지 반대운동을 했다. 다시 고양으로 돌아와 마을공동체 운동, 청년운동, 지역회복운동을 했다.

"한 마을 주민으로 청년으로, 마을공동체 운동, 청년 운동을 했던 것인데 대표적으로 성과가 바로 지난 2017년에 제정된 고양시청년기본조례에요. 청년이라는 명칭이 들어간 조례는 처음이었어요. 당시 어느 누구도 관심이 없었죠. 그래도 당사자인 청년들과 조직을 만들고 조직과 조직을 연대하고 고민한 결과입니다."

그리고 강정마을을 통해 고민하게 된 우리나라 분단 문제를 공부하기 위해 북한대학원대학교에 들어갔고, 통일운동도 하게 됐다.

10대 도의원으로 입성하고 나서는 기획재정위원회를 맡다 보니, 재정과 구조의 공정성에 관심을 두고 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특별조정교부금이다. 첫 도정질의할때도 특조금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그는 특조금이 얼마나 눈먼 돈으로, 도 집행부의 쌈짓돈으로, 의회를 통제하는 예산으로 쓰였는지를 살펴봐야 하고, 이를 견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동료의원에게 여러차례 설명도 했다. 그러면서 시민활동 때 당사자들과 교류하고 공감했던 부분을 의정활동에 녹이고자 했다.

그는 정치는 현장에 있어야 하고 주권자인 시민과 소통할 때 현장에 맞는 정책과 조례가 만들어진다고 생각했다. 특히 도 집행부가 생각할 수 없고, 의원들이 가진 가장 확실한 정책은 결국 현장성이라고 강조했다.
그 현장성을 도정에 끊임없이 제공하는게 의원의 역할이라고 보고 있다. 그동안 경기도시민참여형에너지전환지원조례, 평화통일교육활성화조례를 발의했고, 다음달에는 프리랜서지원조례, 시민시장활성화조례를 발의할 계획을 세운 까닭이다. 1년동안 7번의 의정공유회를 연 것도 이 맥락이다.

"보통 4년동안 의정보고회를 안한 사람들도 있는데 저는 매달 공유회를 열어요. 매번 20여명의 시민들이 꾸준히 참여하고, 400~500여명의 시민들이 인터넷에 접속해서 같이 소통하죠. 주위에서 이런 방식을 어떻게 생각해냈냐고 묻는데 결국은 앞서 말한 활동들의 연장선에서 이 결과가 정치에 녹아드는 것이라고 봐요."

요즘에는 지역구인 고양의 현안인 3기 신도시에 대한 고민이 많다. 그는 일산신도시 집값을 어떻게 잡을 지가 아니라 시민의 기본권인 주거의 권리, 즉 누구나 편히 누울 수 있는 집 한 칸을 어떻게 얻을 수 있나에 맞춰져 있다. 그래서 도 차원에서 시민에게 임대주택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교통망과 인프라는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20·30대 청년들은 고양시를 떠나지 않아도 자식 낳고 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달라는 거에요. 제 고민의 가장 첫번째는 지금 내 몸 하나 쉴 곳 없어 힘들어하는 서민들이 집을 얻도록 하거나 서민들이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을 어디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까에요."

그는 앞으로도 의정공유회, 정책토론회, SNS를 활용한 정책제안 프로세스를 도민중심으로 만들어갈 지 고민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도의원이 어떻게 더 나은 도민의 통로가 될 것인가, 어떻게 삶의 방향과 가치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나침반이 될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고민하고, 고민하고 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