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느끼는 건 '장벽'과 '불균형'뿐
▲ 조인권 인천시 문화관광체육국장
"지원요? 그걸 믿으라고요? 현실적이지 않은 정책을 놓고 예술인한테 지원했다고 말하면 곤란하죠."
인천에서 왕성히 활동 중인 예술인 A씨, 그는 예술인을 위한다는 인천시의 정책에 신뢰가 없다. 정권만 바뀌었지, 예술 현장에서 받아들이는 정책과 지원, 그들을 위한 행정제도는 찔끔이요, 눈 씻고 찾아도 바닥이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그런 A씨와 달리 제도를 생산하고 지원하는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은 억울하다. 솔직히 "해줘도, 뭐라 한다"는 게 그들 생각이다.
인천시 공무원 B씨는 "지역 예술인을 위한 제도는 많다"며 "그런데 시와, 재단의 지원 행위에 지역 예술인의 불편한 시선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술을 지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만 문화의 근간인 예술이 소외된다면 인천의 정체성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의문이 꼬리를 물고, 예술 지원이란 딜레마는 좀체 해소되지 않는 현실이다.
예술 지원 필요성에 공감한다면 가장 먼저 드는 의문이 '어디까지 예술이요, 예술가일까'이다.

문화예술진흥법 등에서 예술인을 정의하는 것은 "예술활동을 업으로 하여 국가를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풍요롭게 만드는 데 공헌하는 사람으로 문화예술 분야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창작, 실연, 기술지원 등의 활동을 증명할 수 있는 사람"을 일컫는다. 예술이 업인 자를 말한다.

그렇기에 극단 아토의 이화정 대표는 12일 "예술가의 범주는 예술을 하는 본인이 가장 잘 알 것"이라며 "연극과 같이 예술에 온 몸을 불살라야 하는 예술인에 비해 직업과 병행할 수 있는 예술가는 구분돼야 한다"고 밝혔다. 예술을 위해 직업을 갖는 자와 직업이 있는 자 중 예술을 하는 자는 엄연히 구분돼야 하는 것이다.
인천지역 예술인은 전국 17개 시·도 중 다섯 번째로 많지만 서울과 경기를 빼면 인천 예술인 수치는 무의미하다.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신고 되지 않은 예술인까지 더하면 5000명 내외일 것으로 추정했고 그들의 예술 형태를 미술 37.4%, 문학 16.6%, 음악 12.5%, 연극 10.2% 순으로 분석했다.이중 장애예술인 현황은 빠져 있다.
지역 젊은 예술인은 여러 번 고개를 숙인다. 그들은 기존 예술단체 가입을 꺼린다. 신진 세력과 기존 세력의 융합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인천의 예술 장벽이 너무 높고 그 벽이 뚫릴 수 없어 인천을 버리고 서울을 택할 수밖에 없다. 그들에겐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은 매번 선정되는 곳, 그들과 관계있는 곳만 지원한다"는 뼛속 깊은 의혹이 자리한다.

그런 그들에게 시와 재단은 "전혀 그런 일은 없다. 지원은 공정하게 이뤄진다"고 답했고, 한 시의원은 "사실 지원 받으려면 까다로운 행정절차를 수행해야 하는데 그게 좀체 이뤄지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이 대표는 "현장의 지역 예술인들은 관의 지원이 양과 질적으로 적다고 느낀다"며 "예술인에게 고루 지원이 이뤄진다면 그에 맞는 의무도 예술인에게 요구하면 된다"고 말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om




[조인권 인천시 문화관광체육국장 인터뷰]
"수요자 목소리부터 듣고 지원규모 선정할 것"

"인천의 예술을 융성하고 예술인 지원에 앞서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의 관계를 개선하고 관에 대한 지역 예술인의 목소리를 더욱 수렴하겠다."

고단한 인천 예술인의 삶이 수치로 발표될 때 인천시와 인천문화재단에 관심이 쏠렸다. 지원이 적은 걸까. 아님 지원이 적기에 되지 않는 걸까. 그런 의문과 의혹이 지역 예술가들 사이에 팽배하기 때문이다.

인천연구원에 따르면 시와 재단에서 창작공간을 마련해도 입주하기 힘들다는 의견이 많고, 전업예술인으로 살아도 대부분 프리랜서일 뿐 비정규직과 정규직은 20%로 내외, 고용주는 5%를 겨우 넘긴다. 전업을 할 수 없는 비전업예술인은 낮은 소득과 불규칙한 소득, 활동비용 마련, 고용불안정 등을 이유로 일자리를 갖게 됐다.

그렇기에 인천시의 예술정책 및 지원 만족도는 65%가 부정적이고 예술가(단체)에 대한 시의 경제적 지원의 요구 목소리는 높다.

조인권 인천시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공급자 중심의 인천시가 아닌 수요자 중심의 시 정책 마련에 노력하겠다"며 "규모를 먼저 계획 후 지원하는 게 아닌 지원이 요구되는 목소리를 충분히 수렴 후 규모를 선정하겠다"고 말했다. 여기에 최근 논란을 빚은 인천연극협회에는 "협회는 극단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와 지역 연극인들의 의견 일치를 보여야 체계적인 시의 지원이 뒷받침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조 국장은 "다양한 지역 예술인의 현장 목소리가 타당성 있다면 시는 그들의 의견을 받아들이겠다"고 덧붙였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