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15개 광역버스 업체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결정하면서 지난해 4월 도입한 '광역버스 준공영제'가 1년 만에 비상벨이 켜졌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 임금만 줄었다
용인에서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운행하는 A씨는 서울버스로 이직을 희망한다. 업체가 지난해 4월 광역버스 준공영제 도입으로 1인2교대의 '저녁 있는 삶'은 찾았지만 휴일은 사라졌다.
기존 하루 17여시간을 일하고 하루 쉬는 '종일제' 근무가 임금과 휴식을 챙길 수 있었기 때문이다.
A씨는 "종일제 근무로 한 달 15일 일하면 300만원 후반의 임금을 받을 수 있었다"며 "그런데 1인2교대가 시작되고 나서 하루 9~10시간씩 24일을 일하니 350~360만원을 받고 있다. 세금 등을 제외하면 300도 못 번다"고 말했다.
이는 종일제 근무에서 연장근무수당이 높았기 때문이다. 종일제 근무 시 8시간 분 임금은 통상임금으로, 나머지 6시간은 1.5배 높은 임금을 받았고, 야간 3시간은 2배를 받았다.
반면, 1일2교대는 1시간을 빼고 8시간이 모두 통상임금으로 계산된다. 그러다 보니 A씨는 임금이 더 나은 서울지역 버스로 이직을 고민하고 있다.
A씨는 "7월부터 주52시간만 일하면 월급이 지금보다 50~60만원 떨어져 당장 생계에 문제가 온다"며 "서울지역 버스운전기사는 연봉으로 4800만원 정도 받는다고 한다.
같은 시간 운전을 하는 '동일노동'인데 연봉이 1000만원 가까이 많다보니 이직을 고민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1년 '휴식시간' 보장 어디로
경기도는 지난해 4월 도내 14개 시·군 15개 버스업체 59개 노선을 대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실시했다. 준공영제 도입으로 1일2교대 운영에 따른 운수 종사자 처우 개선과 대형 교통사고 위험 감소 등을 기대했다.
광역버스 준공영제 실시에 앞서 진행한 연구용역에서 버스 1대당 2.74명의 기사를 배치해야 주52시간, 1일2교대 운영이 가능하다는 결과도 나왔다.
그러나 1년이 넘도록 도내 업체 중 광역버스 1대당 2.74명의 기사를 배치한 곳은 없다.
준공영제에 참여하는 B업체는 광역버스 49대에 108명의 기사를 투입하고 있다. 버스 1대당 2.2명꼴이다. 이 때문에 기사들은 휴가 가기도 힘들고, 휴일도 보장은 물론 일주일에 7일을 일하는 경우도 나온다고 호소하고 있다.
도내 버스업계 관계자는 "도내 버스업체들은 버스운전기사를 상시 채용하고 있다. 현재의 임금으로는 기사 채용이 어렵다"라며 "주52시간제가 적용되면 임금은 더 떨어질 것이고, 기사 채용도 더 힘들어진다"고 말했다.

▲경기도, 파업 대비 대책은
경기도는 올해 첫 추가경정예산안에 광역버스 등 파업대비 임시운영 지원 사업 1억9000만원을 편성했다.
도는 이에 시·군비 4억4000만원을 더해 버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도민들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전세버스 임차비용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전세버스 1대가 1회 운영하는 비용이 20여만원에 달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파업에 참여하는 589대에 전세버스를 투입해 하루 5회만 운영해도 일일 5억8900만원의 비용이 투입된다.
도 관계자는 "광역버스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현재 확보한 예산으로 전세버스 종일 운행은 어렵다"며 "부족한 비용은 도와 시·군 예비비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