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공의료 시스템이 흔들리고 있다고 한다. 인천의료원은 환자 수가 급감하면서 인력 유출과 경영적자의 악순환을 겪고 있다.
인천적십자병원도 경영난으로 지난해 11월 스스로 응급실을 폐쇄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그 결과는 고스란히 인천시민들, 특히 사회적 약자들에게로 돌아가게 마련이다. 공공의료 공급 체계는 소외계층의 마지막 보루이기 때문이다. 이대로 내버려 둘 일이 아닌 것 같다.
1956년 문을 연 인천적십자병원은 1985년 종합병원으로 승격됐다. 외국인·이주 노동자·홀몸노인 등 연간 15만여명의 소외계층 환자들을 돌보아 온 인천 남부권 유일의 공공병원이다. 그러나 수년째 경영난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일반병원으로 전환, 진료과목을 15개에서 6개로 크게 줄이고 응급실도 폐쇄하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이 병원이 위치해 있는 연수구만 해도 2017년 9337명의 응급환자 중 1007명이 이 병원에서 응급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인천의료원도 지난해 입원환자(7만3588명)가 전년보다 1만261명이나 줄었다. 같은 기간 외래환자(16만4222명)는 전년보다 5058명이 줄었다. 환자 감소는 곧바로 병원 경영난으로 이어진다. 인천시로부터 연간 70여억원을 지원받지만 인건비는 자체 수입으로 해결해야 해서 몇 년째 임금체불을 겪고 있다. 임금체불은 의료진의 이탈로 이어지고 그만큼의 의료 공백은 다시 환자 감소로 연결되는 악순환의 사이클이다.
인천의료원의 열악한 접근성도 환자들이 찾지 않는 이유로 꼽힌다. 동구 송림동의 공단지역이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거의 어렵기 때문이다.

공공의료원은 의료복지시스템의 중요한 한 축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먼저 공공의료원이 낙후돼 가는 근본 원인에 주목해야 한다.
인천의료원처럼 시민들의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도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 경쟁시스템이 배제돼 있는 공공의료기관의 경영 효율도 짚어봐야 할 것이다.
이런 분석들을 토대로 인천지역의 공공의료기관들이 시민들에게 가장 효율적으로 복무할 수 있는 지원책과 환경을 조성해 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