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세월호 참사 5주기다. 인천과 안산, 목포 등 전국 곳곳에서는 세월호 304명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와 추모 행사가 잇따랐다. 전 국민을 통한으로 몰아넣은 그날의 아픔을 잊지 않겠다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세월호 참사 후 정부와 정치권은 대한민국은 달라질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부 조직도 바뀌고 세월호와 관련해 법도 제정됐다. 정권도 바뀌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세월호 5주기를 맞은 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5년 동안 변화도 많았다"면서 "안전에 대한 자세가, 이웃을 걱정하고 함께 공감하는 마음가짐이 달라졌다"고 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 5년이 지난 오늘의 대한민국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권력층의 특권과 반칙,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먼저 챙기는 고위층, 무사안일과 타성에 젖은 관료, 무능에 가까운 리더십은 세월호 이전과 다르지 않다. 온 국민을 통곡하게 한 세월호의 비극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정치권도 5년 전 오늘과 달라지지 않았다. 세월호를 둘러싼 시민사회의 불신과 갈등도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올해 하반기에는 세월호 참사 이후 중단됐던 인천~제주 항로의 여객선 운항이 재개된다고 한다. 제2의 세월호 참사를 막기 위해 운항 관계자와 이용객들의 안전의식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다.
여객선은 몇개월 뒤면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여객선 선원들의 안전교육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인천에는 이들을 위한 교육시설이 없다는 것이다.
안전 교육을 받기 위해 부산으로 가야만 한다. 자칫 소홀해지기 쉽다. 인천의 해양안전교육기관 수요는 차고 넘친다. 정부의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

5년전 전라남도 진도 앞바다에서 가라앉은 세월호는 우리에게 '새로운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기'라는 숙제를 남겼다.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라는 책무를 다해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라고 주문한 것이다.
세월호의 비극은 아직도 진행중이다. 우리는 세월호가 남긴 교훈을 잊지 말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