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반입량 격차 … 인천비율 20%도 안돼


1992년 개장한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는 사실 '서울·경기도 매립지'였다. 매립지 반입 쓰레기의 약 82%가 '서울·경기도발'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대체매립지를 다시 인천에 조성하려는 움직임에 시민들의 반발은 매우 크다. 이를 불식시키려면 각 시·도별로 따로 매립지를 조성해 쓰레기를 처리하자는 대안도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3면

25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SL공사)의 수도권 3개 시·도별 폐기물 반입량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서울, 경기도의 반입비율은 81.5%이고, 인천은 18.5% 불과했다.

수도권매립지로 반입된 서울시의 폐기물 양은 167만8000t으로 반입율은 45.5%로 가장 많다. 경기도의 폐기물 반입량은 132만6000t으로 반입율은 36%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인천의 수도권매립지 반입 폐기물양은 68만t으로 반입율을 따지면 18.5%에 그쳤다. 수도권매립지는 인천에 위치하고 있지만 인천에서 발생한 폐기물보다 서울과 경기도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비율이 수 배 많았다.

2017년을 포함한 최근 5년간 폐기물 반입량 수치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서울시의 반입율은 평균 46.5%, 경기도는 34.4%로 두 지역만 80.9%다. 반면 인천은 19.1%로 결국 수도권매립지의 반입 쓰레기 대부분이 서울·경기도발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매립이 끝나가는 수도권 매립지를 대신할 새로운 대체매립지 조성 논의가 한창이다.

서울·경기도발 쓰레기를 처리해온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조성은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라는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이달말쯤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후보지가 공개될 예정이었지만 주민 반발을 우려해 3개 시·도는 1·2차 공모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영종도 준설토 투기장 등 8곳이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에서 인센티브를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혐오시설인 수도권매립지 유치에 나설 곳이 있을지 미지수다.

결국 대체매립지 조성을 위한 관련 용역과 공모 등은 아무런 결과를 내지 못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수도권 전체 쓰레기를 처리할 대규모 대체매립지를 조성하기 보다 시·도별로 별도로 처리하자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201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위한 인천시 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박창화 인천대 도시공학과 명예교수는 "인천의 폐기물 반입양은 20%가 채 되지 않고, 또 직매립 금지로 폐기물이 향후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며 "매립지를 시·도별로 분리하면 현재 규모보다 작은 부지로도 매립지 조성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



관련기사
"또 희생양 될 수는 없다…쓰레기 매립, 각자 하자" 인천 서구 수도권매립지를 대체할 매립지 조성과 관련한 논란을 불식시키려면 각 시·도별로 매립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인천 지역사회는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폐기물 발생 원인자가 쓰레기를 처리하자는 원칙을 강조하고 있다. 그간 20년 넘게 피해를 감수해온 만큼 더 이상 인천에서 제2의 수도권매립지가 조성되서는 안 된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25일 폐기물관리법에 따르면 폐기물은 발생 원인자 부담 원칙에 따라 각 시·도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해당 지역에서 처리해야 한다. 향후 대체매립지를 어느 지역으로 할 것인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