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관리기간 20년이 다 됐는데도 인천 경서동 수도권매립지 1매립장이 불안정한 상태로 확인됐습니다. 아직도 침출원수와 매립가스 등이 배출허용기준치에 크게 미달하고 있어서입니다.
 이에 따라 매립이 종료된 1매립장의 사후 관리 기간이 다시 20년 더 연장될 것이라고 합니다. 장기간에 걸쳐 수도권의 온갖 생활폐기물을 파묻은 토양이 쉽게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는 징표입니다. 

가능한 한 빨리 수도권매립지의 기능을 종료시키고, 상처받은 땅을 되살려야 하는 것이 인천 지역의 숙원사업으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이미 매립이 끝나고도 매립 토양의 안정화에 40년이나 소요된다고 하니 인천시민으로서는 실망이 앞섭니다. 

수도권매립지 1매립장은 서구 경서동 일대 404만 천 평방킬로미터 규모입니다. 서울 난지도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1992년 2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8년 8개월 동안 무려 6400만 톤의 수도권 생활폐기물을 묻었는데요. 2000년 매립이 끝난 1매립장은 법정 사후관리 기준에 따라 20년 동안 사후관리를 해 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 9월 관리 종료를 앞두고 최근 매립지관리공사가 서울과학기술대를 통해 실시한 연구에서 이후 20여년간 사후관리가 더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번 '1매립장 안정화 기간 산정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1매립장의 사후 관리 종료 평가항목인 침출원수 수질이 2년 연속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기 때문입니다. 수질 관련 지표인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생화학적산소요구량 등 9개 항목이 기준치를 넘어섰습니다. 

또 매립가스 중 메탄가스 비율은 기준치 5퍼센트 이하보다 9배가 높은 45.5퍼센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매립폐기물 유기물 함유량은 17.1퍼센트로 기준치인 5퍼센트 미만을 크게 밑돌았습니다. 

반면 서울 난지도 매립장의 경우 2020년을 목표로 안정화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메탄 등의 발생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가스 추출공과 소각시설, 그리고 침출수 처리 등에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진 결과입니다. 

이렇듯 인천과 서울의 매립장 사후관리 처리가 크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재정 투자 규모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사후관리 기간 연장이 불가피한 1매립장뿐 아니라 이제 곧 안정화 사업이 착수되는 2매립장에 대한 우려가 벌써 제기되고 있기도 합니다. 

서울시와 경기도 등 수혜지역은 매립장 사후 관리에 따른 비용을 충분히 부담해야 합니다. 환경 복원과 유지는 매우 중요한 삶의 지표입니다. 정부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첨단 환경기술을 적용해 1매립지의 토양 안정화를 하루빨리 앞당겨야 하겠습니다. 

/인천일보TV medi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