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른 도시 지위’가 나왔습니다. 지난 13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발표한 ‘경기지역의 주요 경제지표 현황’에 따르면, 경기도 인구는 지난해 말 기준 1308만 명으로 전국 16개 광역지자체 중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민 네 명 중 한 명은 경기도에 살고 있는 셈입니다.

하지만 합계출산율은 전국 평균인 0.98명을 조금 넘는 1.0명으로 11위에 머물러 저출산·고령사회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전국적으로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경기도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합계출산율 하락 폭이 0.63명으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인구증가율은 2%, 생산가능인구 증가율은 2.2%로 타 지역보다 높았습니다. 고령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는 서울보다 낮은 주거비용 부담 등의 영향으로 연평균 14만3천 명의 인구가 외부에서 유입되고 있습니다. 2017년 지역내총생산은 414조 원으로 전국의 23.9%를 차지해 전국 시·도 중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휴대폰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한국을 이끌고 있는 주력산업이 도내에 집중된 영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경제활동 인구가 서울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도 많아 1인당 지역내총생산액은 전국 8위 수준에 그쳤습니다.

경기도가 인구 및 산업경제지표 등에서 수위를 달리지만, 우리나라의 최대 현안 중 하나인 합계출산율 증진에 기여할 차별화된 정책들은 아직 부족해 보입니다. 출산정책은 산업정책보다 앞서 나가야 할 국가적 현안이 됐습니다. 경기도의 시·군들은 자체사업으로 출산 자녀에 차등을 둬 5만 원에서 2천만 원까지 출산 축하금과 장려금, 양육비 등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인 출산정책이 제시되고, 연간 인프라를 구성해 간다면 전국을 이끄는 경기도의 또 다른 강점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산율은 국가경쟁력일 뿐만 아니라 경기도 성장에 중요하게 영향력을 미치는 분야이며, 도민 전체 삶에 관여하고, 사회적 파급효과도 높습니다. 따라서 경기도는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출산율을 끌어올려야 할 것입니다. 이를 위한 합리적 정책 형성 과정도 중요합니다.  출산 장려 정책은 새로운 도시 성장의 기반이자, 경기도의 성장과 발전을 좌우할 변수입니다.

/인천일보TV medi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