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11월까지 계획 수립키로 … 원도심에 ICT 기술 적용 '균형발전' 중점 목표
인천시가 원도심과 신도심 간 균형 갖춘 스마트도시 조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올해 예산 6억원을 투입해 '인천시 스마트도시계획(2020년~2024)'을 수립한다고 18일 밝혔다.

시는 계획 수립 용역을 공고하고 내달 제안서 접수 및 평가를 거쳐 업체를 선정한 뒤 11월 중 계획 수립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선정 업체는 기본계획을 통해 인천시의 스마트도시 비전과 청사진을 제시하고 행정·교통·복지·환경·방재 등 주요 사업별 특성에 맞게 차별화된 스마트도시 서비스 발굴 및 관련 사업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

스마트도시는 사물 인터넷(IoT)·빅데이터·드론·인공지능 등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플랫폼을 구축해 도시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시민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제공하는 도시를 말한다.

행정·교통·주택 등 각종 도시 인프라에 전자 데이터 수집 센서를 부착하고 통합시스템에 연결해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처하는 등 ICT 기술로 생활문제를 해결하고 화재 등 사고를 예방해 삶의 질을 높인다는 취지다.

인천시 5개년 계획의 주요 방향은 원·신도심 불균형 해소다. 경제자유구역인 송도·청라·영종에 구축된 스마트도시 시스템을 인천 전체로 확대해 원도심 지역의 주거·생활환경 개선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경제자유구역은 현재 사회안전망·교통·화재·방범·방재·환경 등 생활 요소 전반에 대해 동시적으로 관리·점검하고 소방·경찰에 자동 연결하는 통합운영센터가 있어, 사건사고 등 문제 발생 시 빠른 행정 처리와 대응이 가능하다.

그러나 원도심의 경우 군·구마다 제각각 관제센터를 운영해 업무 효율성이 떨어지고 발 빠른 조치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분리된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ICT기술로 연계·통합해 신도심 수준의 스마트도시로 거듭나도록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 도입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예컨대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터져 발생하는 악취를 막고자 특정 센서가 부착된 스마트 쓰레기통을 주민들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방안이 하나의 예다.

스마트 쓰레기통은 이용 주민에게 요금 통지서를 보내는 것부터 쓰레기통이 차면 수거 업체에 알리는 것까지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처럼 분야마다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면 생활 불편은 줄이고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시티 개념이 없는 과거엔 교통체증의 문제를 도로를 더 조성함으로써 해결했다면 오늘날에는 스마트 기술로 시간대별 데이터를 분석하고 원인을 찾아 교통신호체계를 바꿔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며 "원도심을 신도시 수준의 스마트도시로 조성해 인천 전체 시민의 불편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