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중국 의존형' 교역 벗자 지각변동
북미회담 계기 "市 차원 협력체제 강화를"

인천시가 '포스트 차이나' 베트남에 관심을 갖고 도시 간 교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과의 무역 의존성이 강한 인천항 교역 판도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베트남을 공략해 항만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촉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2차 북미정상회담 개최지로 낙점된 베트남은 앞으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질 뿐 아니라 교역국으로서 가치와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4일 인천 항만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미국이 오는 27일 열리는 2차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베트남을 선정한 것은 핵 없는 북한의 경제 성장 모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이 많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경제 개방을 했을 때 공산당 중심의 정치 체제 등 공통점을 지닌 베트남처럼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는 전략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과 베트남의 관계성도 주목할 만하다. 당장 인천항의 대(對) 베트남 교역량은 국내 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한류 열풍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앞서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7년 처음 연간 300만TEU(1TEU는 길이 6m짜리 컨테이너 1개)를 돌파했는데, 183만TEU를 기록한 중국에 이어 2위 교역국(27만TEU)으로 올라선 베트남이 전체 물동량 증대에 기여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해 역시 베트남은 31만TEU를 달성해 중국(185만TEU) 다음으로 인천항과 가장 많은 교역을 한 국가가 됐다. 베트남 비중이 높아지면서 인천항의 교역 지도가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1강(중국) 1중(베트남)' 형태로 변화한 것도 눈여겨볼 점이다.

이에 인천항만공사는 동남아 지역 물동량 증대를 위해 올 상반기 베트남 호찌민에 사무소를 개설할 계획이다.

인천시도 '400만TEU 조기 달성'을 민선 7기 공약 사업으로 선정한 만큼, 베트남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질적인 교류 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항만업계의 공통된 의견이다.

남흥우 인천항을 사랑하는 800모임 회장은 "중국에 있던 많은 제조업들이 베트남으로 이전한 상태다. 이번 기회에 베트남과의 협력 체제를 강화해 신규 물동량 창출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시는 1997년 베트남 하이퐁시와 자매결연을 체결했으나, 20주년 기념행사 개최 이후 이렇다 할 교류가 없었다. 시 관계자는 "베트남 중심 신남방 정책에 대해 다각적으로 고민하고 있다"며 "시 차원에서 베트남과의 관계를 강화할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