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1독립만세운동이 100주년을 맞는다. 이와함께 3·1운동의 최대 성과물인 임시정부 수립도 100주년이 된다. 정부는 올해 3·1절을 그 어느 해보다도 뜻깊게 새기기 위해 다채로운 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인천에는 황어장터 만세운동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올해 '독립의 횃불, 전국 릴레이' 봉송 행사를 서울에서 인천 계양구의 황어장터 3·1만세운동 기념관으로 바로 이어온다는 계획이다. 인천으로서는 매우 의미가 큰 행사이다. 차제에 인천시민 모두가 100년 전 선열들의 독립정신을 되새기고 옷깃을 여미는 시간을 가져야 하겠다.

1919년 3월24일 인천 계양구 장기동(당시 부천군 계양면 장기리) 황어장에는 태극기를 품은 군중들이 속속 모여 들었다. 잉어가 많이 잡혀 황어장으로 이름 붙은 장터는 일제강점기 우시장으로 유명했다. 이날 장이 파할 무렵인 오후 2시, 수백명의 군중들이 독립만세를 외쳤다. 계양면의 청년 농민 심혁성의 만세 선창으로 시위가 시작됐다. 일제 순사들이 심혁성을 끌고 가자 만세운동은 더 격렬해졌다. 그를 구출하려던 이은선은 순사의 칼에 목숨을 잃었다. 만세운동은 이틀간 계속됐고 강화, 김포지역으로 퍼져나갔다.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심혁성 지사는 1년 여의 옥고를 치른 뒤에도 만주 등지를 오가며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만세운동에 나섰던 계양 주민 40여명도 모진 고초를 겪었다고 한다. 지금 그 현장에는 황어장터 만세운동 기념관이 들어서 그날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

내달 1일부터 임시정부가 수립된 4월 11일까지 전국 22개 지역에서 독립의 횃불 봉송 행사가 열린다. 서울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인천 황어장터로 넘어오게 된다.
3·1 운동은 20세기 제국주의 시대를 뒤흔든 세계사적 사건이다. 이 후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아시아 전역의 피압박 민족들의 항거로 파급된다. '한강물 다시 흐르고 백두산 높았다'라는 3·1절 노래처럼 우리는 식민지배의 삶을 거부한다는 결연한 의지아래 빈부귀천없이 전 민족이 함께 했다. 이로써 진정한 민족적 자각과 근대화가 시작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