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접경지 도시들이 들썩이고 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수정된 접경지 개발계획 때문이다. 이번 발표는 그동안 열악한 환경 속에서 어려움을 겪어온 접경지 지자체들로서는 오랜 가뭄 속의 단비같은 희소식이다. 일부 도시들은 벌써부터 통일경제특구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한다. 정부는 최근 정체된 접경지역의 발전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오는 2030년까지 13조2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수정 발표된 사업계획의 특징은 주민들이 원하는 사업을 위주로 신규 발굴해 수립한 것이다. 정부는 당초 수립했던 접경지역 발전계획 중 실현 가능성이 낮은 사업은 전격 제외했다고 한다.
사업계획을 살펴보면 행정안전부는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해 남북 교류협력 기반조성을 위한 21개 사업에 5조1000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접경지역의 생태·평화·관광 활성화를 위해 108개 사업에 3조원을 투자할 방침이다. 또 SOC 확충을 위해 42개 사업에 1조7000억원을 투입한다. 반면에 단순 수치로만 보면 사업수가 7개 줄고, 전체 사업비도 4조158억원이 감소했다. 이를테면 경기도 내 양주 UN빌리지·동두천 그린 에코 빌리지 등이 제척됐다. 이들 사업은 투자실적이 없거나 실현 가능성이 낮은 민자사업들이다. 이를 과감히 조정함으로써 사업추진의 효율성을 높였다고 한다.

정부는 지난 2011년 '접경지역 발전종합계획'을 수립해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남북 분단으로 낙후된 접경지역에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국가의 경쟁력 강화와 균형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한동안 경색됐던 남북관계로 인해 개발계획은 오랜 시간 동안 흐지부지됐다. 기대에 부풀었던 주민들 불만은 점점 커져만 갔다. 정부가 변죽만 울리고 실현된 것은 하나도 없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발표도 내년 선거를 의식한 '선거용'이 아니냐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정부는 이같은 우려를 불식시킬 책임이 있다. 빠른 시일 내에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해야만 한다. 전후 70여년을 접경지에서 힘겹게 살아온 주민들은 이번 발표로 크게 고무돼 있다. 접경지 도시들도 10년 후 수도권의 지형도를 변화시킬 이번 프로젝트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