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교육청에서 배포한 통일시민교과서.

과거 반공·안보의식 강화 등 체제유지서 벗어나
한반도 화해 분위기 맞춰 '북한 협력 대상' 개념

작년 시범학교 운영 이어 통일시민교과서 배포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학생교류활동 추진





'새로운 평화와 통일, 경기교육 출발선에 서다.'

1945년 남북 분단 73년 만에 새로운 남북평화 시대가 열리면서 경기도내 초·중·고교에서 평화의 씨앗이 싹트고 있다.

반세기 넘게 총칼을 겨누던 남북이 GP철수 등 전례 없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시작하면서 학교에서는 기존 체제유지 성격의 통일교육과는 차원이 다른 평화·통일교육이 본격 활성화하고 있다.


#새로운 평화통일교육 첫발을 내딛다

경기도교육청은 지난해부터 남북화해 분위기에 발맞춰 새로운 방향의 평화통일 교육을 추진 중이다.

학생들이 북한주민을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평화의 중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하자는데 통일교육의 기본방향을 잡았다.

북한주민과의 동질성을 회복하고, 다름을 이해해야만 평화가 무르익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다.

그동안 통일교육은 반공, 안보의식 강화 등 체제유지 개념의 내용으로 이뤄졌다.

1945년 남북분단 이후 문재인 대통령에 이르기까지 73년 동안 학교가 실시한 통일교육 내용 대부분은 북한을 협력과 평화의 대상이 아닌 주적으로 인식했다.

군사정권 시절에는 승공 등 체제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다뤘고, 87년 민주화 봄 이후에도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된 1998년 이후 첫 남북정상회담 개최 등으로 북한과의 관계가 개선되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관점의 평화통일교육을 마련해야한다는 목소리가 겨우 높아졌다.

여전히 유관기관에서 나온 외부강사가 학생들에게 집체교육을 실시하는데 그쳤고, 학교현장은 정치이념 등의 이유로 통일교육에 소극적이었다. 반공 등 평화통일과는 거리가 먼 통일교육이 비일비재했다.

이런 점에서 도교육청이 새롭게 설정한 방향의 통일교육은 북한과의 평화에 방점을 찍은 새로운 개념이라는 점에서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도교육청은 올해 구체적인 통일교육 방향을 제시해나갈 계획이다. 지난해 도내 평화통일교육 시범학교 13곳을 운영하면서 나온 성과를 바탕으로 '정책실현단'도 구성했다.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관계자는 "시범학교를 운영하면서 어떤 수업에서 교육 효과가 있었는지 등을 발굴하고 있다. 새롭게 펼쳐진 한반도 평화시대에 맞춰 학생 의식을 고취시키겠다"고 말했다.


#주목할 만한 경기도 통일교육정책은

경기도교육청은 통일교육이 제대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과 '학생의 올바른 북한 문화 이해'라는 과제 선행이 필수라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전국에서는 처음으로 도내 학교 600여 곳에 '통일시민교과서'를 배포했다.

통일시민교과서에는 일제식민통치 이후 미국과 소련의 분할점령 과정 등 분단이 고착화된 배경 등의 내용을 담아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올해 3·1운동과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남북학생 교류활동을 추진해 북한과의 동질감도 높일 계획이다. 전문학습공동체, 교사연구모임 등 지역네트워크를 구축해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도 도울 방침이다.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 관계자는 "그동안 시대적 소명의식을 갖고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했던 교사들이 많았지만 어느 순간 사라졌다"며 "교사가 모여 평화통일 교육을 연구하고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이를 활성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경훈 기자 littli18@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