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부채감소 큰 역할"
임시조직 만들어 존치
정식기구로 조성 계획
인천시가 이달 31일 소멸을 앞둔 한시 기구 형태의 '재정기획관'을 존치하고자, 그 기능을 그대로 살린 태스크포스(TF) 구성을 검토하고 있다.
4년 전 시 재정 위기 때 '구원투수'로 등장했던 재정기획관이 이제는 없어선 안 될 핵심 부서라 판단하고 내년 중 정식 기구로 만들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5일 시에 따르면 현재 시가 운영 중인 기구는 모두 15개(1실·12국·2본부)로, 이 중 한시 기구는 시 재정 계획을 수립하는 재정기획관이 유일하다.
재정기획관은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AG) 경기장 건설 관련 채무에 휘청거리던 시의 부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같은 해 10월 신설됐다. 행정안전부로부터 한시 기구로 승인받아 그간 운영 기한이 연장돼왔다.

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상 재정기획관의 운영 기한은 이달 31일까지다. 내년이 되면 재정기획관은 소멸된다.
시는 재정기획관의 운영 기한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대신 재정기획관 기능을 그대로 이어받은 TF를 구성한다.

재정기획관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되는 만큼 차선책으로 기획조정실장을 보좌하는 형태의 임시 조직을 만들어 재정기획관을 존치하겠다는 전략이다.

실제 2014년 13조1685억원이던 인천시 총부채는 지난해 10조613억원으로 무려 3조1072억원이 줄었다. 시 내부에선 재정기획관 주도 하에 시행된 '재정 건전화 3개년 계획'이 부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나온다.

시는 재정기획관을 아예 정식 기구로 만들겠다는 그림도 그려 놨다.
인구 300만 도시는 상설 기구를 15개까지 운영할 수 있으나, 인천의 경우 외국인을 제외하면 300만명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로 상설 기구 설치 개수가 14개로 한정돼 있다.

이에 시는 사실상 300만 도시이니 상설 기구를 하나 더 늘릴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행안부에 요청한 상태다. 여기에 정부가 10월 발표한 지방자치법 개정안에 따라 전체 상설 기구의 20% 만큼 기구를 늘릴 수 있게 되면 재정기획관을 상설 기구로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시 재정 운영상 재정기획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재정기획관이 사라지면 해당 업무가 예산담당관과 세정담당관 등에 배치돼 업무 과부하 현상이 빚어질 수 있다"며 "내년에 재정기획관을 정식 기구로 만들어 재정과 조직 운영의 내실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