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출범한 서구문화재단에 이어 연수구가 문화재단 설립의 닻을 올렸다. 2007년 업무를 개시한 부평구문화재단을 제외하면 인천은 사실, 지역 생활문화 육성의 불모지였다. 광역 인천문화재단이 제한된 인력으로 기능과 역량을 십분 발휘해도 300만 인구 도시로 성장한 인천 전체 규모를 따라가기엔 이제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있다. 광범위한 지역의 시민 문화생활 여건이 급변하고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도시화와 산업화에 집중했던 도시 구조가 도시재생을 앞세운 새로운 이머징 마켓으로 변신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함께 자치단체장이 문화재단 설립 공약을 내고 실천에 나서는 일은 일단 고무적이다. 하지만 문화재단의 기관장 임명과 조직 운영에 '캠코더' 인사와 같은 편법 입김이 작용한 사례 등이 재발되지 않아야 전문성을 갖춘 지속가능 발전도 기대할 수 있다.

문화창조 도시는 다양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유입을 인정하고, 예술가들의 활동이 빈번하며 지적 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이 많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인천은 어떤가. 문화예술인들이 평소 지역을 기반으로 생업을 이루고 지역 문화산업에 기여하기보다 인천을 떠나는 구조적 단점을 지녔다. 창조인력을 육성하려는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인천 문화산업 활성화에도 걸림돌이 돼왔다.

마을까지 생활문화 터전을 만드는 일이 중요해졌다. 주민 스스로가 자발적인 참여의식을 발휘하고, 동아리 활동이 권장되는 문화기능 회복에 대한 욕구가 팽배하다. 한편 인천 자치단체의 문화 연구용역들이 외지로 나가서는 곤란하다. 이번 연수구의 문화재단 타당성 용역은 지역 대학 교수, 전문가들을 초청해 사전 공청회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연구자들도 인천 문화발전에 기여하려는 열의가 응집된 만큼 적정한 보상이 이루어져야겠다.

각 자치단체로 문화재단 설립이 확산될 전망이다. 그러나 자치단체장의 확고한 의지가 실천되지 않고는 용두사미의 결과가 우려된다. 인천문화재단도 중앙과 지역을 효과적으로 연결해 시 문화정책이 지역 구석구석에 보급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계획을 새롭게 수립해야 할 전환기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