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개선방향 토론회
자가 → 월세서 회복 못해
적기 정책 지원 필요 지적
5만호 넘는 빈집활용 제안

 

인천지역 한부모 가정의 주거 복지를 보장하기 위해선 시기적절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김승희 강원대 교수는 4일 인천시의회에서 열린 '한부모 가족의 주거 복지 보장을 위한 개선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이혼 등으로 한부모 가정이 생겨나면 아파트에서 단독주택으로, 자가에서 월세로 주거 형태가 바뀐 뒤 다시 회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한부모 가정이 형성되자마자 주거 복지가 이뤄지면 사회·경제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인천지역 한부모 가정은 지난해 기준 10만2828가구로 집계된다. 이들이 한부모 가정으로 바뀔 당시 수도권 주거비용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결국 대다수가 열악한 주거지로 이사를 갈 수밖에 없었다는 얘기다.

실제 김 교수가 여성가족부의 한부모 가정 주거 실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부모 가정이 형성된 직후에는 주거 점유 형태와 주택 유형에서 큰 변화가 나타났다.

자가 소유 가정은 한부모 가정이 된 직후 전세·반전세·월세로, 전세인 경우 월세·무상(부모 집이나 공공임대) 등으로 점유 형태가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고, 주택 유형도 아파트·단독주택에서 다세대·다가구로 바뀌는 경우가 절반 가까이 됐다.

주거 이동도 매우 잦았다. 일반 가정의 평균 거주 기간이 7년인데 비해 한부모 가정은 형성 직후 7~8년간 평균 3.3차례 주거지가 바뀌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교수는 "월세 비중이 높은 한부모 가정은 계약이 끝날 때마다 이사해 주거가 불안정하고, 다가구·주상복합단지 거주자가 많아 소음 등에 쉽게 노출돼 양육에 좋지 않은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책은 생활비와 양육비 등을 먼저 지원하고 한참 뒤에야 주거를 지원하기에 한부모 가정이 된 직후 취약한 환경에 놓이면 다시 회복되기 어렵다"며 도움이 필요한 시기에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빈집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송다영 인천대 교수는 "영구 임대·행복주택 등 다양한 정책이 있지만 계속 주택을 짓는 것만으론 해결되지 않는다. 5만호가 넘는 인천지역 빈집들을 한부모 가정을 위한 주거 복지의 한 축으로 두고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