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전처리 시설 가능성 커
소각장 뺀 선별시설 동의 입장
3-1공구 매립량 50% 줄어들어
수도권매립지에 인천·경기, 서울이 공동 사용하는 폐기물 전처리시설이 들어설 가능성이 커졌다. 생활 쓰레기 소각장을 빼고 선별시설만 설치하자는 제안에 인천시가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매립이 시작된 제3매립장 1공구의 사용 기간도 최소한 수년 더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시는 14일 수도권해안매립실무조정위원회에서 '폐기물 분리·선별시설' 안건 처리를 유보했다고 밝혔다.
수도권 3개 시·도와 환경부가 이날 논의한 폐기물 전처리시설은 기존 계획과 차이가 있다. 소각 설비를 빼고 폐기물 분리·선별 과정만 거치도록 환경부·서울시 등이 한발 물러선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정부의 '직매립 제로(0)화' 정책에 맞추려면 전처리시설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서구·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뜻을 전했다"고 말했다.

당초 환경부·서울시 등은 생활 쓰레기를 소각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는 카드를 내밀었다. 인천시는 주민 반대 등을 이유로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박남춘 시장 취임 이후에도 이런 기조는 달라지지 않았다.

최근 국정감사 이후로 분위기는 급변했다. 수도권매립지에 가연성 폐기물이 불법 반입된다는 지적이 나왔고, 서주원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전처리시설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인천일보 10월24일자 19면>

환경부 등의 제안에 인천시는 더 이상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전처리시설을 대체 매립지 전략에 활용하려는 모양새다. 내년 3월 대체 매립지 조성 연구용역이 끝나면 후보지가 공개되는데, 입지 선정 과정에서 난항이 예상된다. 2015년 6월 '4자(인천시·경기도·서울시·환경부) 협의체'는 대체 매립지를 확보하는 동안 3-1공구(103만㎡)를 추가 매립하기로 합의했다. 당시 반입량을 기준으로 7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였다. 대체 매립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잔여부지(106만㎡)까지 여는 내용도 담겨 있다.

폐기물 전처리시설이 들어서면 매립량은 현재보다 5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2025년까지로 내다본 3-1공구 사용 기간은 적어도 수년 더 연장될 수밖에 없다. 시는 전처리시설로 매립량을 줄이면 대체 매립지를 조성하는 시간을 벌 수 있다고 본다. 잔여부지까지 사용하는 최악의 상황을 막겠다는 얘기다.

시 관계자는 "3-1공구 매립으로 끝낸다는 게 원칙"이라며 "소각설비가 없는 시설은 환경적으로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