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영 문화체육부 차장


인천이 '문화 다양성'을 기다리고 있다. 문화는 뭐니뭐니 해도 시민들과 함께 하는 여러 특성을 지녀야 하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민선 제7기를 맞았고, 인천문화재단에는 새 이사들이 포진한다. 인천문화재단 대표이사도 새로 뽑는다.
인천시장이 문화정책 전반의 밑그림을 그리면, 그에 맞춰 재단 대표이사를 비롯한 이사들이 다양한 문화 색깔을 입힐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조사가 있다.
인천문화재단 인천역사문화센터는 '인천의 문화유산 보존·관리·활용 중장기 종합발전계획' 수립에 맞춰 인천지역 문화유산 및 정책의 인식과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
이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가 인천을 대표하는 것으로 강화도 역사유적지를 꼽았다. 이어 중구와 옹진군 내 여러 섬, 부평도호부·계양산성 일대, 인천도호부·문학산성 등 '원인천' 등으로 답했다. 십 수년 인천이 공들이는 중구 근대 개항장에 대한 역사유적 기대치는 5% 남짓에 머물렀다.
역사와 문화를 떼어 놓더라도 강화도에 대한 시민들의 애정을 엿볼 수 있고, 인천 섬의 노스텔지어(향수)도 꾸준함을 알 수 있다. 부평도호부와 계양산성, 인천도호부와 문학산성은 내가 거주하는 곳의 활성화를 바라는 답변과 같다.

그런데 중구 근대 개항장은 왜 낮을까. 인천의 정치가와 행정가, 문화를 업으로 하는 많은 지역 인사들이 머리를 싸매야 하는 지점이다.
또 있다. 시민들은 문화유산 정책 수립에 시민 삶의 질과 여가 수요를 중점에 둬야 한다고 언급했다. 호흡하는 문화를 의미하고, 내가 사는 곳에서 벌어지는 문화를 바란다. 그래서 부평과 계양, 문학동 등 사실상 문화의 손길이 자꾸만 비켜가는 원도심의 활성화를 바라는 답일 게다.
자치와 분권의 시대이다. 간접민주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직접민주주의 제도적 장치가 차용됐다. 주민참여예산은 그 중 하나이다.
하지만 유독 인천 문화 정책에는 시민 목소리가 담길 기회가 적다. 시민 여론을 현장에서 청취하기 곤란하면, 생각이 반영되는 예산 참여 방법을 염두에 두는 것은 어떨까.
새 문화 패러다임 시대에 그들만의 문화와 정책에 그치지 않기 위해 '인천 문화 직접민주주의'를 준비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