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체돼 있던 경기연구원을 안정화하고, 경기도와 도내 지자체의 정책을 뒷받침하겠다."
경기연구원 이한주 신임 원장은 15일 인천일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며 1300만 경기도민을 위한 '싱크탱크'인 경기연구원의 미래비전을 내놨다.
조직개편을 통한 내부 지원, 도의회와 지자체 협조 체계로 지방분권 강화, 도정의 최선봉 역할 등으로 연구기구 본연의 역할을 되찾겠다는 구상이다.

이 원장은 "도지사 인수위원장을 하면서 연구원에 대한 극단적인 보고까지 받은 적이 있다"면서 "업무 파악 겸 최근 3년 연구결과물을 보면서 이해당사자들이 생각하는 것 만큼 퀼리티 문제가 아니라 원장공백 기간이 장기화된 영향으로 파악해 이제부터라도 다시 정상화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다음달 중순까지 전체적인 구조개편을 한다. 이를 위해 조직개편 TF를 지난달 가동해 부족한 인력과 지나친 업무 분담을 해소하고, 도내 상황에 맞는 분야도 개발한다.

연구원의 총 정원은 61명이지만 최근 몇 년간 51~53명의 현원을 기록하며 만성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박사급 연구원을 총 정원에 맞추고 나아가 총 정원도 10% 이상 늘릴 계획이다.
정책연구가 분산되는 점, 자료 편집 등 연구 외의 업무 등도 해소한다.
이한주 원장은 "경영 공백으로 인한 인력 부족등을 잘 보충하고 하면 경기연구원이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수 없지만 크게 불안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시간을 갖고 다음달 중순까지 전체적으로 구조개편하고 가야겠다는 생각 있다"고 말했다.

도의회와 지자체 정책을 지원한다. 도의회는 현행법상 보좌관을 둘 수 없어 정책 가이드라인을 발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방분권에 맞게 지자체마다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연구를 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했다. 그래서 시군 정책협의, 도의회 정책협의를 상설화하는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
이 원장은 "연구원이 도정에만 머무는 게 아니라 도민을 위해 도의회와 31개 시군의 정책 수요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충원된 인력을 바탕으로, 이들의 부족한 부분을 연구원이 채워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기본소득제·국토보유세·남북교류·지역화폐 등 민선7기 도정의 핵심 정책을 뒷받침할 복안이다. 도단위 광역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해 도와 31개 시군의 네트워크 플랫폼을 만들어 지방분권을 지원한다.
이 원장은 "연구원 바라보는 시각 중 하나는 도에서 요구하면 백업하는 연구하던 시각이 없지 않았다"면서 "이제는 선제적으로 필요하면 우리가 먼저 분위기로 바꾸고 있다.(도정을) 따라가지만 않고 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남춘 기자 baikal@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