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민 경기 북부취재본부 기자
▲ 김홍민 기자
최근 '공무원 명찰 패용'을 두고 이재명 경기지사와 도청 공무원 간 팽팽한 신경전이 있었다. 나라의 녹(祿)을 먹는 공무원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덕목(德目)'에 대한 문제로 포장돼 공무원 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그러나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또 그들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바라보는 기자로서 작은 아크릴 조각이 진정 1300만 도민의 행복을 책임지겠다는 이들이 논해야 할 대상이었는지 묻고 싶다. 아니, 그럴 만한 깜냥이나 되는지 스스로 돌아보고 곱씹어 봐야 할 부분이다.

앞서 이 지사는 이에 대해 "근본적 변화는 기본에서 시작한다"며 "토대를 튼튼하게, 제대로 바꿔놓아야 정책 과제들도 자연스럽게 흘러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이 지사는 긁어 부스럼을 만든 꼴이 아닌가. 일각에서 제기된 '공무원 기선제압' 의도가 아니라면 정책 과제와 공무원 명찰 패용의 도덕적 상관관계는 어느 지점에, 어떻게 존재하고 있다는 것인지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명찰이라 함은 보통 제복(制服)에 적용한다. 국가인권위원회가 명찰을 학생들에게 강요하는 것은 사생활 침해에 해당한다고 판정한 사례도 나온 터다. 인권위에 따르면 개인의 이름은 직업과 성별, 출신과 성분 여하를 떠나 '개인 정보 자기결정권'에 따라 보호돼야 한다.

또 인권위는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한 이름 공개는 사생활을 침해하고 각종 범죄에 노출되는 등 부작용을 낳는다"고 지적하면서 고정 명찰제 시정을 적극 권고하기도 했다. 정해진 틀에서 정해진 공부만을 해야 학생들의 상황이 이러할진대, 공무를 수행한다는 이유로 기존 공무원증과 함께 명찰까지 패용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심정은 오죽했을까.

경기도청공무원노동조합이 예산 낭비라는 지적과 함께 이의를 제기하고 나선 게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지는지도 모른다. 공무원 사회의 근본적 변화는 단순한 명찰 패용 문제를 떠나 주체성을 띤 공무원 스스로의 변화로부터 시작한다.

향후 4년 동안 민선 7기 경기도정을 책임져야 할 이재명 경기지사와 휘하 공무원들에게 묻는다. '든든한 경기도, 도민이 행복한 경기도'를 만들기 위해서 임해야 할 봉사자로서의 자세는 무엇인가?
소탐대실(小貪大失)의 늪을 벗어나 도민을 바라보고 탐닉하는 경기도정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