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천 부천지역 부국장
새 정부 출범 이후 유통업 규제가 크게 강화될 움직임이어서 업계가 꽁꽁 얼어붙었다. 대표적인 곳이 부천 상동의 신세계 백화점 설립계획 중단이다.
여기에 부천시도 건립 사업을 놓고 이랬다 저랬다 갈지(之)자 행태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규제정책에 눈치를 보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신세계그룹의 토지매매 계약 체결 약속 미이행에 따른 부천시장의 사업 무산 선언과 소송제기 예고로 신세계 측을 압박한 지 2개월 가까이 지났지만 달라진 게 없다.
지난 8월 말 김 시장은 "신세계그룹은 백화점 건립을 위한 토지매매계약 체결 기한인 전날까지도 계약을 맺지 않았다"며 "사업 협약 불이행에 따른 협약이행 보증금 115억원과 기회비용을 청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업 협약 해지 절차를 밟을 방침이라고도 했다. 사실상 사업무산을 선언한 것이다.
그러나 2개월여가 지난 지금까지 '엄포'일 뿐 어떤 조치도 하지 않았다.
신세계의 상동 상륙 계획안은 2015년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되면서부터다. 반경 3㎞이내 인천 전통시장 상인들을 비롯한 인천시까지 반발했다.

결국 신세계 측은 2년째로 접어든 지난 5월 부지매매계약을 3개월 뒤로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후 3개월이 지난 8월말 김만수 시장은 신세계의 매매게약 체결 약속 미이행에 따른 사업무산 선언을 했다. 당초 유치계획과 배치된 발언으로 일관성 없는 정책을 드러냈다.
부천시는 시장까지 나서 토지매매계약을 압박하고도 한 달 뒤인 9월 말 신세계그룹에 토지매매계약 이행을 재차 촉구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하니 신세계로서는 난감할 수밖에 없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신세계는 애초 밝힌 것처럼 (지자체·상인 등의) 갈등 상황이 어느 정도 해소돼야 토지매매계약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젠 부천시와 신세계의 입장이 뒤바뀐 셈이다.
실제로 신세계의 민간사업시행자 지위를 박탈하고 소송전을 벌일 경우 앵커시설의 새로운 사업자를 찾아야 한다. 부천시의 오락가락 정책이 더 큰 실책을 남길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최근 이 지역 동향은 달라진 추세다. 부천시 관계자는 "부천시나 인천시 주민들도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백화점 입점을 요청하는 민원이 크게 늘고 있다"고 했다.
일자리 창출도 기대한다. 부천시가 결단을 내릴 때다.


/부천=강훈천 기자 hck1229@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