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단_내_성폭력' 해시태그 이후 문단 내 성폭력 피해자를 후원하기 위한 '참고문헌없음' 출간 프로젝트가 텀블벅에서 성황리에 목표액을 달성했다. 현재 이 프로젝트는 목표액을 갱신하고 있고, 이를 응원하는 '참고문헌없음' 해시태그 릴레이가 SNS에 퍼져나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페미니즘을 외치며 억압돼 온 여성의 언어를 해방하는 일에 함께하고 있다. 페미니즘이 다수에게 요청되는 이 시점에서 입문용으로 읽어볼 만한 책을 소개하고 싶다. 약칭 '입트페'(입이 트이는 페미니즘)로 불리는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봄알람, 2016)이다.

'당신[차별받는 여성-인용자]이 계속 인내하고 노력할 것이 아니라,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구절에 눈이 간다. 나는 자주 남성들을 '이해시켜야' 했다. 가령 문단 내 성폭력에 대한 고발이 터져나올 무렵 "나쁜 놈이 나쁜 놈이라고 얼굴에 써 붙이고 다니는 게 아니니 네가 조심할 수밖에 없지 않냐"던 남자에게 이건 '내가 조심'해야 할 문제가 아님을 설득하고 이해시켜야 했다.

그는 그걸 이해하지 못했고 나도 그를 이해시키기를 포기했지만 이것이 실패한 페미니즘적 경험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한국에서 남성 존재란 아무리 페미니즘 공부를 많이 한다고 해도 '여성'의 입장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대변할 수 없는 (우위의) 차별적 위치에 고착화돼 왔다. 이 맥락에서 그는 자신의 위치를 제대로 인지하고 타인이 그를 이해'시키'려는 노력 이상으로 스스로 이 문제를 이해'하려고' 애썼어야 한다.

남성들은 자신이 이해하지 못하는 지점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어째서 이것이 문제가 될 만한 일인지 생각하고 스스로를 이해시키고 스스로 이해해야 한다. 애초에 여성 문제가 '이해'와 '설득'의 문제가 아님을, 이것이 '인간적인 삶'에 대한 기본적인 요구임을 알아야 한다. 누가 인간의 생존권을 쟁취하는 일에 '이해'와 '설득'의 과정을 거치는가. 그들은 스스로 알아야 한다. #페미니즘 #이해 #입트페 #참고문헌없음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