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요인 결정…지방정부 차원 전략 시급"

경기연구원이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방정부 차원에서 현장 중심의 데이터 구축과 선제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연구원은 지역별·계층별 소득수준에 따라 지역주민의 기대여명, 정신건강 등 건강상의 불합리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전략과 목표를 설정하자는 '건강불평등 심화, 대응정책은 적절한가?'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건강불평등은 부당하고 불공평한 건강상의 차이를 뜻하며,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상의 불공정한 격차인 '사회경제적 건강불평등(Socio-economic Health Inequity)'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광역 시·도 및 시·군·구의 소득수준별 기대 여명을 살펴보면 소득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인별 소득수준에 따른 우울증 발생 정도는 소득계층에 따라 약 4배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20)'에 따르면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지표는 대부분 소득수준, 생애주기에 국한돼 있고, 지역 간 건강수준 격차 해소는 흡연율의 지역 간 차이를 줄이겠다는 목표로만 제시돼 있다.

지역 간의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총괄 목표의 설정과 구체적인 추진 전략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범정부적 협력 및 추진전략 수립과 지역 간 건강수준 격차 해소를 위한 전략 및 목표설정, 건강불평등 기초자료 확보 및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 강화를 제안했다.

정부는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최종 목표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수립해 건강불평등 현황 모니터링 등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최현호 기자 vadasz@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