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수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

귀농·귀촌 가구가 4만4000가구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종전의 최대였던 전년의 3만2424가구보다 37.5% 늘어난 규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금과 같은 귀농·귀촌 추세가 계속되면 20년 뒤 농촌 지역의 인구가 증가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농촌 어린이 숫자가 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귀농·귀촌의 주 연령대가 40~50대인데다, 가장이나 부부만 이주하는 1~2인 가구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농촌 지역 인구 감소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지만 유독 10세 미만 어린이 인구 감소율이 높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농촌 지역 10세 미만 어린이 숫자가 10만명 밑으로 떨어졌다. 더 큰 문제는 10세 미만 어린이 감소율이 너무 빠르다는 것이다. 2012년에 7.3%, 2013년 7.8%가 감소하더니 2014년에는 감소율이 10.9%로 증가했다. 이러한 감소율은 지난해 농가 전체 인구 감소율 3.4%에 비해 크게 높은 수치다.

아기 울음 소리가 들리지 않는 농촌, 그것은 미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한 농촌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아서 씁쓸하다.

전문가들은 이에 따라 농촌에서 애를 낳고 육아와 교육시키기 좋은 여건을 마련하는 데 역점을 두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분만 취약지 외래 산부인과 개설사업'이나 전국 5개 도의 24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찾아가는 산부인과 제도' 확대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농촌 지역 소규모 학교의 통폐합도 지양해야한다고 강조한다.

농촌에서 살 때 안정적인 소득 못지않게 자녀들의 교육 환경이 중요하기에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덧붙여 농촌으로의 젊은 인재들의 유입을 위한 대책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농촌 문제를 앞 서 경험한 일본의 사례를 연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일본의 위킹 홀리데이(working holiday)운동을 우리나라에도 적용해 보는 것은 어떨까?

이 운동은 도시 학생들과 청년들에게 농촌에서 생활하고 농업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농촌에의 정착을 유도하는 운동이다. 정부와 지자체, 농업 관련 전문가들과의 적극적 소통을 통한 참신한 발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정수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