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량 대부분 외지로 빠져나가 주민들 20년 넘게 날림먼지 피해
政 "여건 고려하라" 사실상 방관市 "국가 사무라 …" 나서기 꺼려

인천석탄부두가 2020년 '기능폐쇄' 될 가능성에 악조건이 뒤따르고 있다. 대체 부두로 지정된 타 지역의 반대 여론에 공사조차 이뤄지지 않는 곳이 발생한 데 이어 "여건을 고려하라"는 정부 계획마저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13일 항만기본계획(2011~2020년)에 따르면 인천 남항의 석탄부두와 모래부두는 오는 2020년 '기능폐쇄' 된다.

인천석탄부두는 인천항만공사가 소유한 곳으로 부두운영사는 인천남항부두운영(주)이다. 이 회사 주주현황은 대한통운 40%, 우련통운 38%, 선광 22%로 이 곳은 지난 1989년 1월부터 운영되고 있다. 인천석탄부두 공급처는 현대시멘트㈜와 GS글로벌㈜, 중부발전㈜ 등이다.

인천항 석탄 수입량은 지난 2011년 1118만7000RT, 2012년 1224만2000RT, 2013년 1169만7000RT, 2014년 1007만5000RT로 집계됐다.

이 곳은 항만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기능폐쇄돼 대체 부두로 기능이 옮겨진다. 2011년 7월29일 세워진 제3차 전국 무역항 기본계획으로 인천항 석탄부두 이전계획은 명확해졌다.

인천석탄부두는 상당 부분 인천이 아닌 '외지'를 위해 존재한다. 인천이 아닌 '타 지역'을 위해 주변 시민들은 20년 넘게 날림먼지 등의 피해를 봤던 것이다.

실제 인천항 기존 처리량의 62%가 반월, 수도권, 충남 서천, 전북 군산지역이고, 나머지 38%는 강원도 영월, 충북 단양지역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안·항운 아파트 주민들은 인천남항의 석탄·모래 부두 등 항만물류단지와 접해 있어 먼지와 소음 피해 등의 피해가 크다며 이주를 요구하고 있다. 중앙환경분쟁조정위원회에 피해보상을 요구했고, 시는 이전을 약속했지만 10년째 제자리 걸음이다.

문제는 대체 부두 지역의 반발이다. 이들 지역 역시 "환경피해는 안된다"며 석탄 부두 확보·대체에 회의적이다.

군산항의 경우 비관리청항만공사 방식으로 시행 중으로 오는 2017년 개장을 앞두고 있다. 3만t급 1선석 240m 규모이다.

그러나 공사 중인 CJ대한통운 측이 공사 방식을 바꿔 "안전성이 취약해졌다"며 군산석탄발전소저지공동대책위원회를 중심으로 지역 환경단체가 반대하고 있다.

동해·묵호항 석탄부두 역시 10만t급 1선석 300m 규모로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이 예상됐지만 지역 주민들은 해변 침·퇴식을 우려해 반대하고 있어 사업 추진이 중단됐다.

예상된 대체 부두 지역 반대와 함께 모호한 항만기본계획도 문제다. 이 계획에는 '부두운영여건을 고려해 단계별 폐쇄 추진'할 것을 사족으로 붙였다. 또 "타 항만의 석탄부두 확보 현황, 이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기능전환 계획을 수립하라"며 사실상 면죄부를 줬다.

시를 비롯해 항만 관계자는 "인천석탄부두 이전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국가 사무인 관계로 시가 나서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대체부두에서도 지역 주민의 반대가 커 석탄부두가 2020년에 기능이 폐쇄되기는 어려움이 많다"고 호소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