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성의 인천에서 시작한 최초의 역사-28.상의
'장정' 정식마련·경제지 상계월보 발행
▲ 인천항 신상협회의 '장정'. 국내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다.(인천시립박물관 소장)
인천상공회의소가 지역사회 경제계의 수장인 제22대 인천상의 회장 선출을 앞두고 들뜬 분위기이다.

'인천의 꿈'을 실현하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건설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한 축이 상공계임은 두말할 것도 없다.

인천상공회의소는 시의회가 출범하기 전, 인천발전협의회를 조직해 운용하고, 인천상의보(仁川商議報)를 발행해 지역 언론의 공백기에 대응하였는가 하면, 부평, 주안, 남동의 공단 설치, 경인선 전철화 사업, 인천항 전면 독(Dock) 건설 등 오늘날의 인천이 있게 한 제반 사업을 강력히 추진한 지역발전의 모체였다.

그렇듯, 시대적 역할을 충실히 감당해 왔던 것은 지역 상공인들의 남다른 애향심이 원동력이 됐는데, 그 씨앗은 개항 직후 인천 객주들이 일본인들로부터 민족 상권을 수호하기 위해 결성한 신상회사의 면면한 전통에서부터 기인한다고 보겠다.

객주(客主)란 조선 후기 상품 유통을 담당한 주체로 개항장 객주들은 외국상인들과 직접 거래를 하는 한편 도매상, 창고업, 대금업 등을 겸했던 상인들이다.

1885년 조직된 최초의 객주회인 인천객주회는 일본인들과 맞서 상권 지키기에 고군분투했으나 반관반민의 성격으로 아직 근대적인 상인단체의 면모는 갖추지 못한 상태였다.

1897년 1월 인천에서 설립된 '인천항 신상협회'는 우리나라 최초의 객주 단체로 서상집, 서상빈, 박명규 등이 발기인이 되고, 50여 명의 인천항 객주가 참여했다.

이 단체는 정식 '장정(章程)'을 마련하고, 경제 월간지 '상계월보'를 발행하는 근대적인 모습을 갖춰 출범하였다.

인천항 신상협회는 그 후 민족 상권을 공고히 지켜내는 데 혼신을 다하며, 학교 설립, 지방 교육기관의 지원, 국권회복운동 등을 전개했으나 1910년 3월 일제의 민족계 상인단체 말살정책에 따라 해산당하고 말았다.

광복 후, 그 전통을 고스란히 이어받은 인천상공회의소는 사옥을 중구에서 남동구로 확장 이전해 오늘 21세기, 새로운 시대를 열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