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체성 찾기] 강옥엽의 '인천 역사 원류'를 찾아서
25> 정신과 사상의 생성지 인천③ - 강화학파
▲ 강화 양도면 하일리 정제두 묘.
▲ 강화 화도면 사기리 이건창 생가.
인천의 역사적 성격을 유형화해 보면, '왕도의 공간'과 더불어 '정신과 사상의 생성지'라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단군의 유향이 서린 참성단에서부터 전등사, 보문사 등 전통사찰이 남아있고, 학산서원이나 인천향교 등 유교정신의 실천공간이었던 것이 그렇다. 특히, 고려후기 제2수도 강화도에서의 팔만대장경 조판, 조선시대 강화학파의 근거지, 근대 개항 후 개신교 등의 수용지였던 사실이 이를 설명하고 있다.

강화학파 형성과 양명학
강화학파는 조선후기 강화도에서 출발해 형성된 학파를 가리킨다. 하곡(霞谷) 정제두(鄭齊斗:1649~1736)가 하곡(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양도면 하일리)에 자리 잡고 강학에 몰두했을 때부터 학파가 이뤄졌으며 주로 자식과 사위·조카·손자로 이어지는 혈연 및 혼인관계를 통해 계승됐다.

정제두의 학풍은 아들 정후일(鄭厚一)과 손자사위인 신대우(申大羽), 그 아들 신작(申綽)에게 계승됐고, 역시 손자사위인 이광명(李匡明)과 그 아들 이충익(李忠翊)에게 이어졌다. 아울러 정제두의 동생 정제태(鄭齊泰)의 사위인 이광사(李匡師)와 그 아들 이영익(李令翊), 이긍익(李肯翊)으로 이어지는 흐름이 있다. 특히, 이광명 가문은 강화도에 대대로 거주하면서 이건창(李建昌), 이건방(李建芳), 이건승(李建昇) 등 19세기말 20세기 초 우리나라 학계를 대표하는 학자들을 길러냈다.

강화학파의 학자들은 19세기말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학문적 실천을 통해 독립을 지키고 민족정신을 바르게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이건방은 양명학을 바탕으로 다산 정약용의 학문까지 계승해 근대지향의 사상적 맥을 정립하려 했고, 이건창과 이건승의 학문을 이은 박은식은 양명학을 중심으로 유교를 개신(改新)해 사회개혁의 이념으로 삼고자 했다.

1910년 나라를 잃은 후 강화학파의 중심인물 가운데 이건승과 홍승헌, 정원하, 안효제 등은 만주에 망명하여 독립군 기지건설에 힘을 바치는 등 독립운동에 투신했고, 이 땅에 남은 이건방은 제자를 키우는데 전력했다. 그의 제자 위당 정인보는 조선학운동을 이끌면서 성호 이익과 다산 정약용을 재평가해 실학의 학문적 연원과 의미를 되살렸고 일제의 식민사관에 맞서 민족사관을 정립했다. 이 모두가 스스로의 굳은 의지와 올곧은 정신자세를 강조하는 학풍에 입각한 실천이었던 것이다.

강화학파의 성격을 이해함에 있어서 양명학은 중요한 문제이다. 양명학은 치양지(致良知), 지행합일(知行合一), 친민(親民)설로 요약된다. '치양지'란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마음속에서 사물의 이치를 이해한다는 것으로 양지는 형이상과 형이하를 아우르는 일체로 설명된다. 형이상학적으로 파악되는 동시에 현실적인 인간의 성정을 포괄하는 것이다. '지행합일'은 말 그대로 알면 곧 행동하는 것이니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앎이라 했다. '친민'이란 민중을 친하게 여기는 것인데 곧 내 마음을 밝히는 것이라 했다.

치양지와 지행합일, 친민설은 각각 격물치지(格物致知), 선지후행(先知後行), 신민(新民)설이라는 주자학의 이론에 대비되는 양명학의 특성이라고 일컬어지는데 양명학자들은 주자학에 대해 외부사물에 관심을 가지고 그 사물 각자의 이치를 깨닫게 되면 그들을 관통하는 우주의 질서와 원리를 저절로 알게 될 것이며 그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이론이라고 이해했다.

특히 주자학의 '신민'설은 일반 백성을 다스림의 대상, 즉 교화와 통치의 대상으로 보는 것임에 비해 양명학의 '친민'설은 인민을 도덕실천의 주체자로 파악하는 것이라 했다. 이 점은 양명학의 또 하나의 특징이며 대동사회를 지향하는 경세학 이론과 연결된다.

강화학파와 실학
조선의 양명학이 교조화된 주자학에 대한 대안으로 연구되었듯이 주자학의 입장을 견지하는 학자들 역시 주자의 기본 종지를 인정하고 따르는 것과는 별도로 주자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색했고 구체적인 경세학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었다. 강화학파는 이러한 변화와 실학의 본질에 가장 충실한 학풍이었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을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학파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 원칙에 따른다면 강화학파에 속하는 학자들은 민생안정에 대해 누구보다 관심이 많았지만 성호 이익이나 다산 정약용처럼 경세론에 관한 체계적인 저술을 남긴 이는 없다. 실용에 관한 학문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북학에 힘써야 한다는 실용주의 노선을 표방하지도 않았다. 청대 학문의 특징인 박학과 고증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이에만 매달려 있었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실학의 의미를 '학문의 근원을 자기 스스로 찾으려는 노력에 바탕을 둔 조선후기의 새로운 학풍'이라 본다면 강화학은 충분히 실학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교조화된 주자학의 논리를 그대로 무조건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터득된 지식과 원리만을 참된 지식이라고 보려는 경향, 이것이 바로 실학의 진정한 의미인 것이다.

강화학파의 현재적 의미
강화학파의 특징은 기존 학설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 스스로 진리를 추구하려는 정신자세에 있었다. 이것은 19세기말 20세기 초 외세의 국권 침탈에 대항해 자기 역사에 대한 깊은 성찰을 통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사상적 움직임을 이끌어갈 수 있었던 바탕이 됐다.

2015년 인천은 '극란신흥(剋亂新興)'의 자세로 어려움을 헤쳐 나가고자 한다. 바로 이러한 때에 인천 역사 속 강화학파의 올곧은 정신자세를 되새겨 보는 것도 시사(示唆)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인천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